수중세계 '화중왕'
푸른바다의 꽃은 클수록 아름답다
제주바다의 해양 생태보고서 15. 대형수지맨드라미
2012년 볼라벤 영향 전멸 위기…최근 얕은 수심에서도 발견
수심 30m서 1m 이상으로 성장
육상의 맨드라미꽃을 닮아 맨드라미산호라 불리는 연산호는 종류가 다양한 세계희귀종으로 바다의 꽃으로 불린다.
같은 종끼리 군락을 이룬 연산호군락 은 2004년 천연기념물 제442호로 지정됐고 제주지역에는 서귀포 문섬, 범섬, 섶섬과 그 일대를 중심으로 집중 분포돼 있다.
맨드라미 산호 중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은 분홍바다맨드라미, 큰수지맨드라미 등이다. 그 중 대형수지맨드라미는 30m 안팎의 깊은 수심에서만 서식하고, 1m 이상의 큰 키로 성장하며, 개체마다 다양한 색상을 띠고 있는데 통상 수지맨드라미류 라고 한다.
이름 끝에 '류' 가 따라붙는 것은 아직껏 정확한 학명이 주어지지 않았다는 의미다. 딱히 뭐라 부를 수 없는 이 수지맨드라미류를 다이버들 사이에서는 연산호 중 가장 크게 자라는 종이라고 해 대형수지맨드라미 로 부르고 있다.
중심기둥에서 가지 뻗어
일반적인 수지맨드라미는 대체로 뿌리부에서 가지가 갈라지지만 대형수지맨드라미는 나무처럼 중심기둥이 먼저 올라가고 그 위에서 가지가 뻗어나가는 특징적인 형태를 띤다.
산호는 입 부분의 수없이 많은 촉수, 즉 폴립을 이용해 동물성 플랑크톤을 잡아먹는다. 연산호의 폴립은 가지부에만 매달리는 특성으로 대형수지맨드라미 역시 굵직한 중심기둥부에는 폴립이 없다. 대신 히드라가 빼곡하게 매달려 있는데, 이 히드라류는 연산호와 독립된 생물체로서 오직 대형수지맨드라미에게만 붙어 공생하며, 대형수지맨드라미가 어릴 때부터 붙어서 일생을 함께 한다.
대형수지맨드라미의 입장에서는 독성의 히드라를 굵직한 빈 기둥에 빼곡하게 채움으로서, 기어 다니는 생물들이 몸체에 올라와 해를끼치는 일을 차단하고자 하는 깊은 의미를 알 수 있다.
이러한 공생원리는 약육강식 세계의 생존전략이 상상을 뛰어넘어 신비롭기 그지없다.
자연의 회생능력 확인
2012년 8월. 시속 180㎞ 속도로 제주에 접근한 대형 태풍 볼라벤은 서귀포항구의 거대한 방파제를 기울어지게 했다.
보통의 태풍은 수심 20m 이상 깊은 수심에 파도영향이 들어가지 않는다. 그러나 볼라벤은 대형수지맨드라미가 군락을 이뤘던 문섬의 남동쪽 수심 23~40m까지 고스란히 영향을 미처 그 깊은 수심에 몰려있던 산호들을 단 한 개체도 남김없이 전멸케 해 모두를 놀라게 했다.
이 뿐만 아니라 태풍 파도는 섬의 남단에 서식하는 수중생물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쳐 볼라벤의 위력을 실감나게 했다.
볼라벤에 의해 대거 전멸했던 섬의 대형수지맨드라미가 약 2년 전부터 번식에 돌입하더니 새로운 어린개체들이 보이기 시작해 대단히 반가웠다. 그러던 올해에는 1m 내외로 불쑥 자라면서 30m 안팎의 깊은 수심에만 서식하던 본능을 버리고 10m 대의 얕은 수심에서도 흔하게 관찰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났다. 그것도 여러 개체들이 몰려 크고 작은 군락을 이루는가 하면 예상외의 곳곳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이러한 광경은 자연의 회생능력에 큰 감동을 불러일으키게 했으며, 다이버들 사이에서도 놀랄만한 화젯거리가 됐다. 더 특이한 점은 태풍파도의 피해를 의식한 듯 섬의 남단보다는 태풍파도로부터 안전한 북단에 대거 번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개체들의 밀집도가 가장 높은 곳은 문섬 서북쪽의 한계창과 범섬 새끼섬의 서북쪽이다. 김진수 제주해마스쿠버센터 대표강사
|
|
|
대형수지맨드라미를 비롯한 연산호들은 낚싯줄이나 기타 어구에 취약하며 치명적이다. 섬의 낚시 포인트나 섬에서 동떨어진 어선의 그물 포인트는 대부분 산호군락지다. 산호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각종 물고기들이 모여들어 그 기반으로 살아가기 때문이다. 대형수지맨드라미의 경우 다른 산호들보다 키가 커서 낚싯줄에 쉽게 걸릴 수 있다. 더구나 몸체가 물렁물렁한 육질만으로 구성된 유연한 줄기구조다 보니 낚시바늘, 줄에 걸려서 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깊은 상처를 입는다. 연산호류는 천연기념물이며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종들도 상당수에 이른다. 서귀포의 문섬, 범섬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고, 그 일대가 유네스코 바다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원인 중의 하나가 바로 연산호란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