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국제안전도시 4차 공인 신청서 '제출'…손상감시체계 차별화 '전략'
[국제안전도시 선도하는 제주] 3. 신청서 제출
통합·운영 측면 고도화 발판…6개 응급의료기관 등 참여
사고 영역별 맞춤형 관리 도입…도민참여 거버넌스 목표
대정서초 '안전학교' 박차…"지역사회 공감대 형성 노력"
제주형 손상감시체계의 차별화 전략이 국제안전도시 4차 공인 인증에 발판이 될 전망이다.
제주도소방안전본부는 국제안전도시 4차 공인 신청서를 지난 6일 아주대학교의료원 지역사회안전증진연구소에 제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신청서에는 △지역사회 개요 △안전도시 사업 추진 기반 △안전도시 사업 추진 경과 △공인기준에 따른 내용 등이 담겼다.
우선 국제안전도시 공인기준이 기존 7개에서 올해부터 △거버넌스 △손상감시 △프로그램의 포괄성 △취약 집단 프로그램 △평가 △네트워킹 등 6개로 변경됨에 따라 사고손상감시체계 통합과 운영 측면의 고도화를 노린다는 전략이다.
앞서 제주지역은 손상의 문제를 지속해서 파악하고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지역사회 특성에 맞는 손상감시체계가 구축된 상태다.
현재 지역 내 6개 응급의료기관이 모두 참여해 응급실 기반 손상 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며 아동·청소년, 노인, 교통, 치안, 화재, 수난, 관광, 스포츠, 사업장, 생활안전, 여성, 산악, 구급 등의 영역에서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관리체계를 표준화하고 예방 프로그램별 맞춤형 관리평가 및 지표체계를 도입한 것이다.
게다가 45개 안전 관련 기관 및 단체와 안전도시위원회, 분과별 실무협의회가 네트워크를 형성해 유기적인 협력체계도 유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안전도시 사업 예방 프로그램의 일관된 평가와 함께 효율적인 예방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가 가능해졌다.
특히 도내 독특한 노인 관련 사고, 해녀 수난사고, 한라산 산악 손상, 봄철 고사리채집 등 실종 사고, 감귤 등 과수 생산 절단 손상의 특성 파악에도 한몫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제주안전체험관'을 적극 활용해 지역사회가 중심이 되는 도민참여형 자율적 사고손상 예방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방은 '생명 존중, 함께하는 국제안전도시 제주 구현'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도민 자율형 안전도시를 지향하는 등 '거버넌스' 구축을 중장기 핵심 목표로 설정했다.
아울러 대정서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제주 국제안전학교' 인증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당 학교는 2020년부터 시범 운영을 거쳐 지난 13일 공인 신청서를 제출했다.
학교를 중심으로 지역 안전 역량을 강화하고 학생 사고 저감 프로그램 개발·운영을 통한 지역사회 안전 문화를 확산한다는 복안이다.
제주도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제주도의 손상감시체계는 다른 지역과 비교해 지역사회 응급의료체계에 속한 모든 구급대 및 응급의료기관이 참여하고 있다"며 "향후 안전도시 사업수행 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지역사회 구성원 참여를 유도하는 등 도민 주도형 사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제안전도시 4차 공인 신청서 접수 이후 다음달 중 국내 현지실사가 예정돼 있다. 양경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