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보이스피싱 피해액 '눈덩이'…변종 수법 '기승'
지난해 409건·116억원 달해…전년 대비 10.5% 급증 대면 감소 반면 비대면 증가…정부 정책 악용 사례도 제주경찰청, 예방 수칙 등 전파 계획…"홍보 등 지속"
제주지역 보이스피싱 범죄가 잇따르면서 피해액도 눈덩이처럼 늘어나고 있다. 특히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도 고도화·전문화되면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12일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보이스피싱 범죄 발생은 모두 409건으로 피해액은 116억원에 달한다. 이는 전년 514건 대비 발생은 감소한 수준이지만 피해액의 경우 2021년 105억원에서 10.5% 늘어난 셈이다.
같은 기간 범행 수법별로 살펴보면 2021년 기승을 부렸던 '대면편취형'은 290건에서 지난해 131건으로 54.8% 크게 감소했다.
문제는 상품권 등 유가증권이나 가상자산을 편취하는 등 비대면 변종 수법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해당 기간 '계좌이체형'은 141건에서 161건으로 14.2%, 기타 수법 역시 83건에서 117건으로 41% 급증했다.
게다가 최근 고금리, 공공요금 인상 등 어려운 경제 사정을 악용해 정부에서 추진하는 정책인 것처럼 '정부 지원 정책자금 대출' '근로장려금' 등의 형태로 속이는 수법도 기승을 부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주경찰청은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도민 경각심 고취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지역 언론과의 협업을 통해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홍보와 함께 주민단체, 경찰 협력 단체 등을 대상으로 범죄 수법, 예방 수칙 등을 지속해서 전파한다.
아울러 범죄 피해 현장의 최일선에 있는 금융기관과 피해·예방사례 공유, 금융기관 직원과 고객을 대상으로 방문교육도 이뤄진다.
제주경찰청 관계자는 "지난해에 이어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합동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MOU를 갱신하는 등 예방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라며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에 포함된 링크는 절대로 누르지 않는 등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경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