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 7년, 운영 4년…겉도는 마을활동가제도 무엇이 문제인가?
23년 마을활동가 결산 워크숍 열려
마을활동가제도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행정과 마을에서 이들의 활동영역을 확보해 주고, 마을공동체활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도시재생지원센터 2층 회의실에서는 마을만들기종합지원센터 주관으로 올해 마을활동가들의 결산워크숍이 있었다. 23년 활동 상황을 공유하고 24년 사업계획을 안내하는 순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많은 활동가들이 참석해서 열띤 토론을 벌였다.
먼저 참석자들은 마을활동가 양성을 시작한 지 7년, 조례에 제도화한지 4년이 되었지만 행정에서의 활용이나 마을에서의 인식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데 아쉬움을 표했다. 활동가들이 마을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미션이 명확하지 않을뿐더러, 마을에서도 이들이 누구인지, 어떻게 활용을 해야 할지를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제도와 현실 사이의 문제로 활동이 자꾸 겉돌고 있다고 한다. 지금 현장에서는 조례에 의한 공통 역할 수행보다는 활동가의 개인 역량에 따른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2016년부터 양성한 마을활동가는 80시간에 걸친 이론과 현장 교육을 통하여 100여명을 양성했으나 지금 현장에 남아 있는 활동가는 20여 명 내외다. 마을활동가로서 할 일이 없기에 포기를 하고 있다.
내년에는 3년 동안 중단했던 활동가 신규양성 교육을 재개할 예정이라고 한다. 5년 동안 400명의 마을활동가를 양성하고자 하는 행정 목표의 시작이다. 활동가들은 그동안 바라왔던 일이고, 바람직한 일이라 환영의 뜻을 표시했으나, 현재의 운영상 문제점을 개선하지 않고서는 또다시 반복될 결과에 우려를 표명했다.
아울러 활동가 보수교육의 필요성과 역량 강화 방안, 차후 활동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토의 시간을 가졌다. 조례에서 마을활동가의 역할로 부여된 마을만들기 사업에 대한 지원활동은 장기간에 걸친 지속성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현재 마을활동가는 매년 위촉한다. 활동기간이나 시간, 지역도 제한하고 있다. 구조적인 차이를 가지고 있기에 효율적인 결과를 만들 수 없음은 당연하다는 게 현장 활동가들의 생각이다. 타지역의 운용 사례들을 참고하여 마을 속 활동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행정의 현실적인 대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