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슬포 해병대 사격장 공사 일방적 추진, 지역주민 반발
주민대책위, 공사 연기하고 협의체 구성해 상생 방안 마련 촉구
훈련이 중단된지 2년 6개월만에 모슬포 해병대 사격장의 이용 재개를 위한 '도비탄 방지시설 신축 공사'를 앞두고 국방부의 일방통행식 추진이 지역주민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사격장 인근 주민들은 한국전쟁 발발 이후 군사시설 보호를 위해 건축 제한 등의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았지만 이번 일방적인 사격장 신축 공사의 추진으로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채 진행되는 것에 격하게 반발했다.
공사 추진에 앞서 단 한 차례의 주민설명회도 개최되지 않아 주민들은 공사를 반대하는 현수막을 대정읍 곳곳에 내거는 등 불만이 극에 달한 상황이다.
이에 해병대 제9여단은 27일 오후 대정읍사무소 회의실에서 황급히 공사 시작 3일전에야 '도비탄 방지시설' 신축 공사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대정읍 상모리 일대에 1986년 11월 준공된 해병대 사격장은 도내에서는 가장 긴 250m의 사격 훈련이 가능한 자동화 사격장으로 2만 6400㎡ 규모로 군과 경찰 해경 등이 훈련해왔다.
하지만 사격 소음 등으로 지역주민의 피해와 민원이 끊이지 않고 이어졌으며 2번의 도비탄(타도 이탈 총알) 사고가 발생해 주민들의 안전문제 마저 제기됐다.
이날 주민설명회에서 주민대책위는 사격장 증축과 관련해 단 한 차례의 주민설명회도 개최되지 않았으며, 공사 업체 등의 선정이 완료돼 공사 착수를 3일을 앞두고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는 데 대해 집중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이와 함께 사격장 증축과 관련, 국방부 관계자가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 등 상생 방안 마련과 함께 3월 1일 예정된 공사 착수를 연기해달라고 촉구했다.
주민설명회에 참석한 한 주민은 "향후 평화대공원 조성. 장기적으로 볼때는 이설을 논의해야 할 시점인데 아주 영구히 쓰겠다는 착각이 들 정도"라며 "합리적 이설계획을 제시한다고 하면 사격장 공사를 반대할 이유가 없다. 군과 민이 단합하는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달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