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물질을 고한다…제주 '첫' 해녀 은퇴식

지난 25일 귀덕2리어촌계 제주 사상 첫 해녀 은퇴식 

2024-05-26     전예린 기자

"나 죽어서도 물질하멍 살켜"

지난 주말 9명의 제주 해녀들이 바다에 작별을 고했다.

지난 25일 오후 제주시 한림읍 귀덕2리 포구에서는 둘이 합쳐 경력 148년인 해녀들의 '특별한 물질'이 펼쳐졌다.

그간 수 많은 제주해녀들이 바다를 떠났지만, 공식적인 '은퇴식'이 처음 제주에서 거행됐다.

이날 행사는 떠나는 이들의 후련함과 남겨진 이들의 섭섭함이 어우러지며 웃음과 눈물이 함께했다.

해녀 김유생 씨(92)와 강두교 씨(91)는 바다에 발을 담그자마자 익숙하게 테왁을 붙잡고 헤엄쳐 나갔다.

제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질 풍경이었지만 포구 한쪽에는 수십 명의 관중이 있었고, 일부는 틈틈이 눈물을 찍어내기 바빴다.

70여년 합을 맞춰온 이들은 쌍둥이처럼 잠수해 이내 통통한 전복과 소라를 양손에 잡고 물 밖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바닷속에서 해산물을 하나씩 잡아 들어 올릴 때마다 곳곳에서 박수가 터져 나왔다.

5분여 바다를 누빈 두 해녀는 육지로 올라선 뒤 서로를 부둥켜안고 '마지막 물질'을 마무리했다. 이들은 이 물질을 끝으로 15살, 22살에 만난 바다와 이별한다.

제주에서 처음으로 박수를 받으며 은퇴한 해녀는 김 씨와 강 씨, 김신생 씨(83), 김조자 씨(89), 박정자 씨(86), 부창우 씨(83), 이금순 씨(89), 홍순화 씨(79), 홍희성 씨(86) 등 9명이다.

해녀들은 처음 물질을 시작할 때 입었던 전통 해녀옷인 물소중이(하의)와 물적삼(상의)를 입고 은퇴식에 자리했다.

마지막 물질이 끝난 뒤 어촌계회관에서는 공로상 수여식이 진행됐다. 상장에는 '해녀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제주 해녀 고유의 명맥을 유지함에 기여해주신 데 감사하다'는 문구가 담겼다.

김성근 귀덕2리 어촌계장은 "일생을 몸 바쳐 온 해녀들이 은퇴할 때 이렇게 박수쳐 줄 행사가 없다는 게 항상 아쉬웠다"며 "전국 최초로 이렇게 은퇴식을 열게 됐는데 우리 마을에서는 앞으로 매해 식을 열 예정"이라고 말했다.

양영철 JDC 이사장은 "은퇴하는 해녀분들이 가장 아끼는 손녀에게도 당당하게 한번 해보라고 말할 수 있는 그런 환경이 조성되도록 노력하겠다"며 해녀 은퇴식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전예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