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산업 발전 민간 기업 주도 관건"
제주연구원 연구결과 공개 행정 기업 정책수요 대응 민간-공공협력 중점 제언
제주 우주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민간 우주기업 주도로 추진하되 민간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세제혜택, 금융지원, 리스크경감 대책 등을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주연구원은 2일 기본연구인 '제주 민간 주도 우주산업 발전 정책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제주연구원에 따르면 우주산업은 최근 10여년간 발사체 및 정보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시장이 급속하게 커지고 있다.
제주도는 대한민국에서 위성 정보 송·수신 및 발사 방위각 등 측면에서 유리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국가위성운영센터 등 우주 관련 기관들이 입지한 상태다.
또 최근에는 한화시스템이 국내 최대 규모의 위성 조립·생산·시험시설을 건설하고 있으며 발사체 스타트업인 페리지 에어로스페이스는 제주 해상에서 발사시험을 추진하는 등 민간우주기업과 국가기관의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제주도 역시 지난해 2월 우주산업 육성 기본방향을 발표하고 초소형 위성과 친환경 소형 발사체, 우주산업-관광 융합 등을 중심으로 둔 발전전략을 공표했다.
제주연구원은 제주 우주산업 정책 방향을 민간 우주기업 주도하에 추진될수록 있도록 하되 제주도는 기업의 정책수요 대응과 민간-공공 협력 측면에 중심을 둘 것을 제언했다.
단기적으로는 스타트업 지원사업이나 세제혜택 및 보조금 지급 등 우주기업·기관 지원사업과 산업 인프라 구축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우주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제주특별법에 우주산업 관련한 내용을 담는 등 제도·법적 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탄소중립, RE100 달성을 위한 친환경 우주기술을 개발하고 도내 우주기업의 글로벌 우주 프로젝트 참여를 지원하는 등 해외 우주산업 진출을 지원할 것을 권했다. 김수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