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비자 전국 확대' 제주관광 적신호

정부, 관광안정화 대책 발표 中 관광객 무비자 적극 검토 수도권 집중 등 제주는 위기

2024-12-26     윤승빈 기자

코로나19 사태를 겪은 뒤 침체됐던 제주 외국인 관광시장이 가까스로 회복세에 접어들고 있지만, 정부가 '전국 무비자' 확대 정책을 꺼내들면서 외국인 관광객 유출이 우려되고 있다.

정부는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가 관광 전략 회의에서 '관광 시장 안정화 대책'을 채택했다.

이번 대책은 이달 초 비상계엄 사태 이후 해외 주요국이 한국 여행에 불안감을 내비치고 있는 것에 대한 조치로, 한국 관광시장의 빠른 회복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문제는 이번 대책 중 '외래객 출입국 편의 증진' 내용에 '한시 무비자'가 포함됐다는 것이다.

정부는 한·중 전담여행사를 통해 모객한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해 일정 범위 내에서 한시 무비자 제도 시범 시행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중국인 관광객은 제주도에 한해 30일간 무비자 체류가 가능한데, 이를 전국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의 대책대로 무비자 제도가 전국으로 확대될 경우 제주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의 타시도 유출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한 제주만의 인센티브가 사라지게 되면서 되레 제주가 역차별 받는 상황에 놓인 것이다. 

다만 본보 취재 결과 정부는 구체적인 시행 날짜와 무비자 제도 형식 등에 대해서는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제주도 관광업계가 발빠르게 중국인 관광객 사수 대책이 빠르게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무사증 제도가 전국적으로 시행될 경우 관광객이 수도권으로 몰리는 등 제주도 역시 영향을 받게될 것"이라며 "정부의 구체적인 대책이 나온다면, 제주도 역시 발빠르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