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반대 현안 전환점 삼아야
6·3 장미대선 제주현안과 과제 <3> 정부 협조 해상운송비 국비 공염불 단골 공약임에도 비추진 발목 잡기 우려 해소해야 도정 현안 사업 진전 관심
제주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정부의 반대로 지지부진한 정책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제주 해상운송비 지원이 있다. 최근에는 제주~칭다오 신규항로개설,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 주민투표, 제주형 건강주치의 등이 거론된다. 6·3장미대선을 계기로 후보들이 적어도 '발목잡기'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해상운송비 국비 지원은 제주 1차산업의 최대 숙원으로 꼽힌다. 하지만 2015년 이후 10년째 공염불이다.
이 사업은 제주에서 육지부로 반출하는 화물의 운송비를 국비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제주는 물류 불평등을 해소하자는 취지지만, 정부에서는 타지역과의 형평성 등을 이유로 소극적인 입장을 되풀이 하고 있다.
제주의 해상운송비 지원은 대통령 선거 뿐 아니라 도지사 선거, 국회의원 선거 등 주요 선거마다 단골 공약으로 꼽히고 있지만 현재까지 아무런 성과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6·3장미대선에서만큼은 제주 1차산업의 최대 숙원을 반드시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해상운송비 국비 지원 정책에 대한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는 제주~칭다오 신규항로 개설 지연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도물류비 재정 지원은 물론 해상 운송의 공적 기능도 인정하지 않는 정부가 제주도의 자구적 노력마저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번 대선의 가장 큰 키워드가 '민생'인 만큼 제주 해상 물류비 감소 등에 대한 대안이 제시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이와 함께 이번 대선을 계기로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에 대한 주민투표와 제주형 건강주치의 등에서도 진전을 보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제주형 건강주치의 정책의 경우 정부와의 협의 난항으로 제주도의회가 예산을 전액 삭감한 건이다. 도는 정부와의 협의를 적극 이어가는 한편, 대선 출마 후모들에게 해당 정책의 당위성을 설명하는 등 정책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안간힘을 다하고 있다.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의 경우 주민투표가 시급한 상황으로, 지금에서는 민선 9기와 발맞춘 개편은 어려운 실정이다. 적어도 대선 후보들의 확답이 있어야 제주도가 정한 기한을 맞출 수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