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미래 먹거리, 에너지 전환·우주산업에서 찾아야
6·3 장미대선 제주 현안과 과제 <5>제주 미래먹거리
CFI2030 이행계획 정비
클러스터 계획 수립 연구
국가정책 반영 여부 주목
제주도는 에너지 전환과 우주산업을 핵심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정책 상당수는 제도 기반 미비와 예산 부족 등으로 추진이 지연되고 있다.
오는 6·3 장미대선을 계기로 차기 정부가 관련 사업을 국가 전략에 포함하고, 제도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탄소 없는 섬 2030(CFI2030)은 2012년 수립된 제주도의 대표 탄소중립 계획으로,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기차 전환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는 올해 초 ‘2035 탄소중립 비전’을 추가로 발표하며,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70%까지 끌어올리고 연간 6만t의 그린수소를 생산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와 함께 도는 올해 에너지 신산업 확산을 위해 총 298억원을 투입해 수소·전기차·분산에너지 관련 72개 세부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해상풍력단지 추진과 송전망 확보, 수소 저장·운송 인프라 등은 여전히 제도적 공백이 남아 있다.
특히 에너지 정책의 경우 국비 지원과 중앙정부의 제도 정비 없이는 실질적인 진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현장의 지적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우주산업 분야에서는 한화시스템이 서귀포 하원테크노캠퍼스에 조성 중인 ‘제주한화우주센터’가 중심축이다. 위성 조립·실증 기능을 갖춘 이 시설은 올해 하반기 준공 예정이다.
또한 도는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기업 입지 기반을 마련하고, 전문 인력 확보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별도로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진행하며 향후 국가 우주전략과의 연계를 검토하고 있다.
다만 주요 사업 다수가 아직 중앙정부의 국가계획에 뚜렷하게 포함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번 대선을 통해 대선 후보들이 제주의 현안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공약을 제시하고, 제도 개선과 재정 지원 방안을 명확히 하는 것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 정책이 향후 국가 전략에 체계적으로 포함돼야만 도정 차원의 중장기 사업 추진도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고기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