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정의는 정치로 실현해야

올해 기후정의 행진 도약 기대

2025-06-11     이경아 도민기자

지속가능한 지구환경을 위해 전세계가 합의한 파리협정의 지구 온도 상승 1.5도 제한 목표는 너무 빠르게 무너지고 있다. 

기후변화는 권력과는 거리가 먼 가난한 사람들, 미래 세대, 비인간 생명체들에 더 큰 위협으로 다가온다. 지구온난화에 책임이 적은 이들이 더 큰 위협을 받는 이 기후변화의 불평등한 영향에 정의로운 대응을 촉구하며 우리는 기후정의를 외친다. 매년 9월, 전국 각 지역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기후정의행진은 이러한 우리의 목소리를 모으는 대표적인 시민 행동이다. 정부지원을 받아 진행하는 기념사업이 아니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조직위를 꾸리고 참여 단위 각각이 작은 돈을 보태어 연대의 힘으로 만들어가는 시민 운동이다.  

기후정의를 위한 우리의 외침은 어디를 향하는가? 소비의 주체인 시민들인가, 생산자인 기업인가, 권력과 자원을 분배하며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가야 할 정부인가.

먼저 우리 자신을 돌아보자.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면에서 우리 국민은 세계 최상위 수준이라고 한다. 그러나 탄소중립을 이야기하며 비행기를 타는데 거리낌이 없고 자가용을 이용하고 전력 소비가 큰 AI의 혜택을 누리며 다양한 소비를 통해 막대한 탄소를 배출하고 있다. 우리 자신이 바로 기후위기의 가해자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의 실천이 중요하고 더 필요한가. 그렇다. 일부가 아닌 인류 전체의 실천이 필요하다. 일류 전체의 실천이 가능한가? 사회의 전반적인 시스템, 흐름을 바꾸면 가능한 일이다. 환경 문제가 제도로, 정치로 풀어야 하는 이유다.  

막대한 탄소배출을 이유로 근거리 운항을 금지하는 유럽의 나라들과는 반대로 좁은 국토에 공항을 10개나 더 짓겠다거나,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해 시민 실천 캠페인에 앞장서지만 더 큰 효과를 내는 일회용품 사용 규제나 생산량 감축에는 조용한 정부와 기업. 이러한 단편적인 예들만 보더라도 정의로운 대응을 위해 거대한 흐름을 만들어가는데 한참 모자란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누군가 정치는 우리의 감춰진 욕망의 표현이라고 했던가. 그런 의미에서 제도를 바꿀 시민 사회의 힘을 키우는 우리의 실천은 아직 부족하다. 

더 큰 목소리로 제도를 바꾸어 갈 수 있도록 함께 모이자. 기후변화로 심각한 피해를 입을 노동자들, 농민들, 미래 세대에 걱정이 큰 부모들, 정의롭지 못함에 분노하는 청년들, 실천을 찾는 시민들, 희망을 말하는 어린이들, 비인간 생명들을 걱정하는 사람들, 자신의 노후를 걱정하는 사람들, 우리 모두 연대하며 더 큰 행진을 만들어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