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 여름휴가 해외보다 국내관광 선호

제주 선호도 3위…국내 대표 관광지 무색 섬 지역 특성상 일정·항공료 부담 등 영향

2025-06-30     김두영 기자

국내 직장인들이 여름휴가로 해외보다는 국내 관광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여름휴가지 선호도에서 강원이 1위를 차지하고 제주는 이에 밀려 3위에 그치면서 국내 대표 관광지라는 칭호가 무색해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직장인 800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여름휴가 계획 및 정책과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1.6%가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 중 83.5%는 국내 여행을 선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선호하는 국내 여행지(복수 응답) 조사에서는 강원권이 34.9%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제주는 강원권은 물론 경상권(27.9%)에도 밀리면서 선호도 조사에서 3위(22.4%)를 차지하는데 그쳤다.

이처럼 국내 최대 관광지로 불리는 제주가 여름휴가지 선택에서 다른 지역에 밀린 것은 최근 휴가 트랜드가 장기 여행보다는 짧지만 효율적인 ‘미니 휴가’가 대세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섬이라는 지역적 특성상 항공기를 이용해야 하는 제주는 일정에서 ‘이동’의 비중이 높게 차지하는 만큼 짧은 휴가에서는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불리하기 때문이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 휴가 일정에 대한 질문에 ‘2박3일’이라는 응답이 38.9%로 가장 많았고 ‘3박4일(22.7%)’, ‘1박2일(21.3%)’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항공료를 비롯해 렌터카 등의 추가적인 비용 부담도 제주 여행의 경쟁력을 떨어트리는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올해 직장인 1인당 평균 휴가비는 53만5000원으로 지난해 평균 48만9000원보다 9.4% 증가했다. 전국 직장인 약 2000만명 중 절반이 여름 휴가를 떠날 경우 전체 소비 규모는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휴가 활동(복수 응답)에 대한 질문에는 절반에 가까운 49.3%가 ‘휴식·자연 풍경 감상’을 꼽았고 ‘여행지 구경·관광(23%)’, ‘맛집 탐방(21%)’이 그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