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적십자봉사회, 송악산 올레길 코스 걷다
한림적십자봉사회 (회장 송영실)는 최근 봉사원 25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림적십자봉사회 결성 48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보멍, 걸으멍, 쉬멍'송악산 올레길 코스를 걸었다.
한림적십자봉사회는 1977년 7월 결성된 이래 지역사회복지향상을 위하여 희망풍차결연활동, 무료급식봉사, 호스피스병동 목욕봉사 및 환경정화 활동 등 다양한 봉사 활동을 전개해오고 있다.
또한, 년 1회 수제돈가스를 만들어 판매한 일부분 수익금을 관내 초, 중, 고 8개 학교에 장학금을 지원해주고 있다.
한림적십자봉사회는 바쁜 일상을 잠시 뒤로하고 한자리에 모여 송악산 둘레 길을 걸었다.
송악산은 제주 서남부에 위치한 높지 않지만 바다를 품고 있는 넓은 분화구와 함께 탁 트인 풍경이 멋지게 펼쳐지는 오름이다.
산방산의 남쪽, 가파도가 손에 잡힐 듯 보이는 바닷가에 불끈 솟은 산이 송악산이다.
99개의 작은 봉우리가 있어 일명 99봉이라고도 한다.
제주 올레 10코스를 따라 이어지는 송악산 둘레 길을 걷다보면 형제섬과 가파도, 마라도까지 훤히 보이는 이 장소는 세계적으로 유래가 적은 이중 분화구가 존재하는 화산학적 가치가 높은 산이다.
완만한 길을 따라 오르다 보면 방목해 놓은 말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
송악산 둘레 길은 단순한 자연 산책로만은 아니다.
일제강점기 일본군이 만든 진지동굴과 군사시설이 남아 있는 장소로 역사의 흔적을 되새기는 타크투어리즘 코스이기도 하다.
단순히 풍경만 보는 게 아니라 역사적 아픔과 흔적을 느낄 수 있는 장소이다.
송악산의 해안가 절벽에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제주 사람들을 동원해 뚫어놓은 인공동굴 15개가 있다.
송악산 둘레 길은 시작과 끝이 같은 순환 형 걷기 코스로 거리는 약 2.8km이고 1시간 40분 가량 소요된다.
송악산 주차장을 출발하여 야트막한 언덕을 다 올랐을 즈음, 눈앞에 펼쳐진 풍경은 가히 환상적이다.
한 가지 주의 할 점은 한여름에는 대부분이 코스에 그늘이 없어 걷기가 힘들 수 도 있다.
한림적십자봉사회는 오늘을 계기로 재충전해서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 앞장서서 달려가는 봉사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