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태료 부과한다는데" BRT 단속 예고에도 현장 혼선 '여전'
[과태료 부과 불구 혼선] 1일부터 서광로 일대 단속 차선 오인 교통 혼잡 발생 안내·계도 부족 현장 혼선 "유도선 정비 등 대책 시급"
제주시가 이달부터 서광로 구간 버스전용차로 위반차량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기 시작했지만 현장에서는 바뀐 제도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혼선이 이어지고 있다.
31일 오전 제주시 광양사거리 일대를 확인한 결과, 지난 두 달간 계도기간을 거쳤음에도 일반 차량들은 여전히 혼란스러운 모습이었다.
당장 다음날부터 단속이 시작되지만 운전자들은 버스전용차로를 이리저리 넘나드는가 하면, 직진 차로와 좌회전 차로를 혼동하는 모습도 다수 목격됐다.
1차로가 버스전용차로라는 사실을 알지 못한 듯, 좌회전이나 유턴을 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1차로에 진입하는 것이다.
한 차량은 사거리를 앞두고 좌회전이나 유턴 용도인 2차로로 주행하던 중 노면에 표시된 '직진 금지' 표시를 보고는 급정거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빠른 속도로 뒤따라오던 차들이 일제히 비상등을 켠 채 멈춰 섰고, 몇 분간 교통 체증이 빚어지며 시끄러운 경적과 함께 짜증 섞인 고성이 터져 나왔다.
여기에 가로변 버스정류장도 그대로 운영되면서 승객 승·하차 시 버스가 3차선을 가로막아 출퇴근 시간대 교통혼잡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제주도가 대중교통 서비스 고급화와 속도·정시성 향상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사업이다.
앞서 신제주입구교차로부터 광양사거리까지 서광로 3.1㎞ 구간에 대한 사업을 마무리하고 이달 1일부터 위반차량에 대한 단속을 시작한다.
하지만 도로 확충 등 뚜렷한 대안이 없는 상태에서 사업을 추진하다 보니 교통 체증과 운전자 혼란 등 보완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교통 전문가들은 이같은 혼란에 대해 무리하게 도로 폭을 좁힌 점과 주민 의견 수렴 부족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제주교통연구소 관계자는 "현재 BRT사업이 추진된 서광로 일대 도로 구조는 일반적인 도로 구조로 보기 어렵다"며 "도로가 비좁은 상태에서 섬식정류장을 조성하다보니 기존에 있던 정류장을 흡수하지 못했고, 이는 주민 의견 수렴이 부족했다는 것을 반증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향후 모두 양문형으로 전면 교체한다고 했지만 읍면 지역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필요성과 예산 문제 등 심도있는 고민이 필요하다"며 "현재 서광로 일대 교통 체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버스베이 등 차선을 넓히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특히 렌터카 등 제주의 상황을 알지 못하는 관광객들은 1·2차선에 잘못 진입해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다"며 "관광객과 도민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유도선 정비가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전예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