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기고] 빈집털이 예방, 내 집 문단속 꼼꼼히
김선봉 대정파출소장
시골에서는 가옥들이 서로 떨어져 있고 빈약하게 설치된 가로등, CCTV 등의 이유로 빈집털이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평소 귀금속을 사용하지 않다가 행사가 있어 귀금속을 보관했던 서랍을 열었을 때 그제야 귀중품을 도둑 맞았다는 사실을 알게 될 때가 있다. 또 노인들이 은행 등에 방문하기 어려워 집안에 현금을 보관하는데 이를 노린 절도범이 노인들이 밭이나 일을 보러 간 사이 침입해 현금을 노리는 때도 있다.
여름철 집안의 열을 낮추거나 곰팡이 때문에 환기하려 창문을 열어놓는 경우, 잠시 밭에 간다는 이유로 문을 잠가 놓지 않고 외출을 하는 경우 등을 절도범이 노리고 있다. 이렇듯 빈집털이 절도범은 시간대를 불문하고 집을 비운 사이 침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외출할때 특히 유의해야 한다.
빈집털이를 예방하기 위해 집을 비울 때는 현관문, 창문 등을 포함해 외부에서 침입할 수 있는 입구는 모두 잠그는 것이 좋다. CCTV 설치가 부족하고 주변에 민가 또한 드물어 그만큼 쉽게 범죄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휴대폰으로 CCTV를 연동해 외부에서도 자기 집 내·외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스마트도어락, 타이머 조명, 움직임 감지 등으로도 예방할 수 있다.
또 장기간 집을 비울 때는 우편물 등을 미리 수거해 놓고 집이 오래 비어있다는 사실을 감출 필요가 있다. 고가의 귀중품, 현금 등은 예상치 못한 곳에 보관해야 범인이 가택에 침입했을시 범인의 시간을 뺏을 수 있다. CCTV 설치와 방범 방충망, 침입감지기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빈집털이를 예방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