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부터 中무사증 전국 확대…기대 반 우려 반
中관광객 한국 방문 증가 속 전국 분산 우려 “연말부터 본격적 효과 나올 것…대비 해야”
29일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한시 무사증 입국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제주는 중국인 관광객 확대에 대한 기대와 함께 그동안 제주에만 허용됐던 무사증 입국의 전국 분산에 대한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
이번 한시 무사증 입국 제도에 따라 국내·외 전담여행사가 모객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내년 6월 30일까지 무비자로 15일간 국내 관광을 할 수 있다.
제주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제주로 입국하는 개별·단체 관광객들에 대한 30일간 무비자 입국 제도가 그대로 유지된다.
정부는 이번 한시적 무비자 제도 시행으로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인 관광객 100만명 가량이 한국을 방문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국내 관광업계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번 제도가 국내 관광시장 전반에 적지 않은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면서 이번 특수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추진 중이다.
제주 역시 중국인 단체 관광객 증가가 제주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를 위한 온라인 홍보 강화를 비롯해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의 제주 방문을 유도하기 위한 마케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중·장기적으로 중국인 단체 관광객 제주 유치를 위한 맞춤형 상품도 개발하고 있다.
다만 이번 한시적 무사증 제도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그동안 제주에만 적용됐던 무사증 입국 제도가 전국으로 확대되는 만큼 제주만의 이점이 사라지면서 서울과 부산 등 다른 지역과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경쟁을 펼쳐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번 한시적 무사증 제도를 통해 입국한 중국인들은 15일간 자유롭게 전국을 여행할 수 있는 만큼 다른 지역을 방문한 후 제주를 찾을 수도 있지만 제주는 섬이라는 특성상 다른 지역에 비해 이동에 불리함이 있는 만큼 다른 지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제주 여행업계 관계자는 “보통 해외여행 계획의 경우 준비에 어느정도 시일이 소요되는 만큼 이번 한시 무사증 제도 역시 즉시 효과를 보이기 보다는 오는 연말부터 서서히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이 같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번 한시 무사증 제도를 제주 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회로 삼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김두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