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비엔날레 사전 컨퍼런스 15일 개최
제주돌문화공원에서 열려 돌·신화·유배 주제 아래 제주의 문화와 예술적 확장 방향 논의
제주도가 주최하고 제주도립미술관(관장 이종후)이 주관하는 ‘2026 제5회 제주비엔날레 사전 컨퍼런스’가 오는 15일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 갤러리 공연장에서 열린다.
이번 컨퍼런스는 ‘섬의 기억과 감각 - 돌, 신화, 유배’를 주제로 제주의 자연과 생태, 역사, 신화적 서사를 예술적 관점에서 조명한다. 2026년 제5회 제주비엔날레의 주제적 방향을 모색하고, 예술과 지역 정체성의 접점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행사는 1부 주제 발표와 2부 원탁 토론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에서는 세 가지 분야별 전문가 발표가 이어진다. 김종일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가 ‘북방 유라시아의 거석 기념물과 제주도의 돌문화’를 주제로 발표하며, 정광중 제주대 명예교수가 질의자로 참여한다.
‘신화’ 분야에서는 김순이 제주문학관 명예관장이 ‘제주 신화와 함께’를 주제로 발표하고, 강소전 제주대 강사가 질의한다.
‘유배’ 분야에서는 최열 미술사학자가 ‘제주의 추사’를 주제로 발표하며, 양진건 제주대 명예교수가 질의한다.
2부 원탁 토론은 홍경한 미술평론가의 진행으로 열린다. 홍 평론가는 칼럼니스트이자 전시기획자로, 제주문화의 본질과 예술적 확장 가능성에 대해 심층적인 논의를 이끌 예정이다.
이번 컨퍼런스는 예술인과 연구자,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참석할 수 있다. 현장 참여자를 위한 추첨 이벤트와 커피 쿠폰 경품도 준비돼 있다.
이종후 제주도립미술관 관장은 “제주비엔날레는 섬의 고유한 자연과 문화, 역사적 경험을 예술 언어로 풀어내는 실험의 장”이라며 “이번 컨퍼런스는 ‘돌·신화·유배’라는 키워드를 통해 제주의 근원적 기억을 재해석하고, 2026 비엔날레의 주제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의미 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5회 제주비엔날레는 2026년 8월 개막 예정이다. 제4회 비엔날레가 ‘표류’를 주제로 남방 해양문명의 교차를 조명했다면, 제5회 행사는 북방 문명과 제주문화의 연결과 변용 과정을 예술적 시각에서 탐구할 계획이다. 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