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원된 감귤원 대부분이 소득이 낮은 일반작물과 채소류 재배에 활용되면서 농촌경제 기반 붕괴에 대한 우려가 제기(제민일보 2월19일자 보도)되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서 양돈 계열화를 통한 수출 산업화 방안이 대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양돈 계열화사업은 어떤 것이며, 양돈이 감귤원 폐원에 따른 경쟁력있는 대체산업이 될지 2차례에 걸쳐 진단해 본다.



최대 시장인 일본이 지난달 28일 한국을 돼지고기 수입 금지국가 명단에서 제외하는 ‘가축전염병 예방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 돼지고기 수출이 4월에는 재개될 전망이다.

제주도 역시 올해 3000톤을 시작으로 오는 2011년 단일품목으로 최대 규모인 1만5000톤·1억달러를 수출하는 전략품목으로 집중 육성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자치단체와 업체·농가 3자간 역할분담을 통해 폐원되는 감귤원에 양돈장을 시설하고 계열화 사육체제를 통해 제주지역 제2의 지주산업으로 육성하자는 것이 탐라사료(대표이사 회장 윤태현)가 내놓은 기본골격이다.

△감귤 폐원 계획과 양돈산업 현황

도가 마련한 감귤산업발전계획상 감귤 재배면적은 2000년 현재 2만5976㏊에서 2011년 2만2000㏊ 수준으로 줄어들게 된다. 2001년 폐원면적 361㏊를 제외하고 올해부터 줄잡아 3600여㏊가 감축되는 것이다.

확실한 대체작목이 없는 상황에서 이처럼 엄청난 면적이 폐원되고 보리·콩등 일반작물과 채소류 재배가 이뤄지면 과잉생산으로 인한 처리난과 그에 따른 소득감소로 농촌지역 경제 가 위축될수 밖에 없다.

한편 도내 양돈산업이 현주소를 보면 390여농가가 연간 자돈 49만∼55만마리를 생산, 소득규모가 1100여억원 정도다.

이가운데 35% 가량이 도내에서 소비되고 나머지는 다른 지역 또는 수출시장으로 나간다.

또 모돈·자돈·비육돈 일괄사육으로 생산비가 높고 계절적 요인과 수출물량등 수요 등락에 따른 불안감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계열화사업, 어떤 구상인가

자치단체와 업체·농가가 역할분담을 통해 양돈산업의 경쟁력을 갖추고 감귤에 못지 않은 지주산업으로 육성하자는 것이다.

자치단체는 종돈장 확대를 통한 종돈공급등 정책적·경제적 지원, 업체는 자돈구입비 지원 및 사료공급과 유통처리, 기존농가는 자돈 전문생산, 폐원한 감귤농가는 비육돈을 위탁생산하는 체제다.

비육돈 사육시설비가 평당 40만원대임을 감안하면 1000마리를 사육할수 있는 돈사 1000㎡를 시설하는데 1억2000만원이 든다. 자치단체는 정부 혹은 자체 정책자금으로 이 자금을 장기저리로 농가에 융자해주고, 업체는 자돈구입비와 사료를 위탁생산 농가에 지원해 비육돈을 출하할 때 정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체제가 갖춰지면 감귤원 폐원농가들이 자금부담없이 비육돈 생산에 참여할수 있고, 300평을 기준으로 1000마리씩 연간 3회 생산이 가능하고 처리에 대한 불안감이 없이 줄잡아 1마리당 2만원씩 6000만원대의 순소득을 올릴수 있다는 구상이다.

이런 방식으로 폐원된 감귤원 300㏊만 비육돈 생산으로 전환해도 연간 비육돈 90만두를 생산, 연간 180억원의 소득을, 단계적으로 1500ha를 전환하면 연간 240만두를 생산해 480억원의 추가수익을 올릴수 있다는 계산이다.

또 기존농가들은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자돈 전문생산으로 전환하면 문제가 없고, 업체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해 수출 및 내수시장을 확대해 나갈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양돈산업 기반이 확대되면 농촌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 돈사든 시설 확충과 사료 공급물량 확대등에 따른 부수적인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