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은 514만명. 이중 관광을 목적으로 방한한 376만명을 유치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들의 각축전이 치열하다. 특히 올해는 월드컵과 아시안 게임 등 굵직한 국제 행사가 열려 관광객 유치수에 따라 보상금을 지급하는 인센티브 마케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지자체의 인센티브 제공현황=인센티브 제공은 크게 일정 기간 동안의 유치 실적을 종합, 순위를 매겨 포상하는 방식과 관광객 1인당 일정액을 지급하는 두 가지가 주를 이룬다. 단순히 연간 실적을 따져 연말 포상 개념으로 지급하던 것에서 지금은 보다 많은 여행사의 참가를 유인할 수 있도록 관광객수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옮겨가고 있다.

한국일반여행업협회에 따르면 인천광역시, 전주시, 전라북도, 전라남도, 충청북도, 울산시, 안동시, 전북 부안군, 광주광역시 등이 인센티브를 실시하고 있거나 계획중이다.

여기에다 특정 축제 기간에만 적용되는 것까지 포함할 경우 인센티브 내용은 일선 여행사에서도 모두 파악 못할 정도로 다양하다.

▲제주는 어떠한가=지난해 제주를 방문한 외국 관광객수는 29만여명. 방한 외국관광객의 10%에도 못 미치는 7.7%에 불과하고 있다.

강원도가 70만명, 경북 60만명, 충북도 40만명 유치를 고려할 때 접근성 불편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국내관광의 대표주자이자 세계적인 관광지를 지향한다는 말이 무색할 정도다.

그러나 제주인 경우 도내 여행업체만을 대상으로 제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을 뿐 외국인 관광객유치확대를 위한 직접적인 지원은 이뤄지지 않고 있고 계획도 없다.

▲인센티브제의 명암=인센티브는 일단 여행사에 직접적인 당근으로 작용, 단기간에 외국관광객 유치를 확대하는데 특효약이다.

충청북도의 경우 지난해 인센티브제공으로 3만명을 유치했다. 지출예산은 2억5000여만원. 올해는 3억여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인데 현재 1억5000만원이 배정됐고 나머지는 추경에서 확보할 예정이다.

충북 관광과 관계자는 “인센티브 제공은 외국관광객 유치에 확실히 도움이 된다”며 “올해는 도비 70%, 숙박업체 부담 30%로 제도를 보완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자체들이 인센티브에 너무 기댈 경우 관광의 기본인프라인 볼거리와, 쇼핑, 숙박 등의 시설이나 여건개선에 대한 관심을 외면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관광업계 입장=유치보상제가 이러한 명암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여행업계는 한시적으로라도 실시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일단 외국관광객의 총량을 늘려놓는 것이 중요하며 다녀간 사람들의 입을 통해 이뤄지는 홍보효과도 비용에 감안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여행업계는 “관광객수에 따라 보상금을 지급한다는 따가운 눈총으로 보기보다는 지자체가 그만큼 외국관광객 유치에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