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중국의 대외 관광정책에 대한 사전지식 없이 정책을 수립, ‘전시성 행정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도는 잠재수요가 6000만명에 이르는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당초 중국 베이징·상하이 2곳에 ‘제주관광홍보관’을 설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현재 도는 이같은 방침과 달리 지난 99년부터 베이징에 설치돼 있는 한국관광공사 베이징지소 1곳에 제주홍보를 담당하는 현지 조선족 1명만을 상주시키는 데 그치고 있다.

이는 도가 중국이 자국에 설치하는 관광사무소를 국가당 1곳만 허가한다는 국가방침을 모르고 있는 상태에서 추진한 결과다.

그나마 설치된 관광사무소에도 안내책자나 관광지도 등 제주 홍보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 현지 조선족이 매번 수령을 요청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상황 때문에 단 1명의 홍보요원으로 어느 정도의 홍보 효과를 가져올지 의문시되는 데다 도의 중국시장 개척을 위한 의지 역시 의심받고 있다.

도 관계자는 “중국 사정 때문에 제주관광홍보관을 독자적으로 개설할 수 없다”며 “중국인구가 많다고는 하지만 일본관광객과 비교해 중국관광객이 얼마나 질적인 관광수입원이 되는가하는 것도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관광업계 한 관계자는 “그렇다면 현지사정도 모르면서 제주관광홍보관을 설치하겠다고 했느냐”며 “앞뒤도 재지 않는 정책수립이 한심스러울 뿐이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