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제주시 주택·하우스시설 등 가입률 10%대 불과
서귀포 “전산망 점검으로 확인 불가” 관리 소홀

제13호 태풍 ‘링링’과 제17호 태풍 ‘타파’에 이어 제18호 태풍 ‘미탁’이 북상하면서 주택과 시설농가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풍수해보험 가입률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 역시 중앙부처 전산망에 의존해 가입률 증감여부를 확인하는 등 관심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풍수해보험은 보험가입자가 부담해야 하는 보험료 일부를 국가 및 지자체에서 보조해 저렴한 보험료로 태풍, 홍수, 호우, 강풍, 대설, 지진 등 예상치 못한 자연재해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도입된 제도다.

특히 국가 및 지자체가 보험료의 56%에서 최대 92%까지 지원해주기 때문에 큰 부담 없이 가입할 수 있다.

또 주택 세입자도 가입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해가 발생하면 지급 받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재난지원금과 달리 7일 이내에 신속하게 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어 자연재해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런데 1일 제주시에 확인한 결과 지난해말 기준 제주시 주택 풍수해보험 가입률은 대상가구 3만6700여가구 중 10.4%(3800여가구)에 불과했다.

올들어 신규 가입한 주택도 359가구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시 비닐하우스(온실) 가입률 역시 대상면적 625㏊ 중 10.6%(66㏊)에 그쳤고, 올들어 신규 가입면적도 13.6㏊로 저조했다.

서귀포시는 풍수해보험 가입실적조차 파악하지 못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본보와의 전화통화에서 “행정안전부에서 풍수해보험 가입과 관련한 자료를 총괄하고 있다”며 “전산망 점검으로 인해 현재로선 가입률을 확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올들어 연이은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주택 및 농가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도 풍수해보험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다.

집중호우와 태풍 피해를 입은 주택과 농가들이 신속하게 피해복구에 나설 수 있도록 풍수해보험 가입 홍보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김경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