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23일 오전 계약 해지 통보…국내 항공사 간 첫 M&A 무산

연합뉴스 자료사진

제주항공이 결국 이스타항공 인수를 포기했다. 국내 첫 항공사 간 인수·합병(M&A)이라는 점에 줄곧 주목받았던 행보가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끝내 무산되면서 항공업계 재편 작업은 물론 계약 파기 책임을 두고 법정 공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이르면 23일 오전에 이스타항공 측에 계약 해제를 통보할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이 미지급금 해소 등 선결 조건을 이행하지 못해 계약 해제 요건이 충족됐다는 내용의 계약 해제 통보 공문을 보내고 해당 내용을 공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부도 23일 오전 예고한 항공산업 현안 관련 백브리핑에서 이 같은 상황을 설명하고 그간 국토부의 중재 노력 등을 피력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항공은 지난 16일 입장 자료를 내고 “(마감 시한인) 15일 자정까지 이스타홀딩스가 주식매매계약의 선행 조건을 완결하지 못해 계약을 해제할 수 있게 됐다”며 “다만 정부의 중재 노력이 진행 중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계약 해제 최종 결정과 통보 시점을 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제주항공이 정부의 중재 노력과 여론 등을 고려해 판단 시점을 조율하기는 했지만 M&A 계약 파기는 시간 문제라고 전망해왔다.

제주항공과 M&A 무산으로 이스타항공은 파산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6개월 넘게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면서도 제주항공 인수에 대한 기대로 임금 반납까지 동의했던 직원 1600명은 직장을 잃게 된다. 이스타항공이 “이스타항공과 이스타홀딩스는 제주항공과 주식매매계약서상의 선행조건은 완료했다”고 주장하는 등 선결조건 이행 여부를 놓고 양사의 입장 차가 엇갈리는 만큼 향후 계약 파기의 책임을 두고 법정 공방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