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접란은 세상에 나온 지 얼마 안 돼 귀하고 그래서 미국인들이 꽤 좋아합니다. 그러나 마케팅이 문제입니다” 충남 태안군의 LA 현지농장 대표 이상영씨는 호접란 사업의 경쟁력은 유통과 품질관리에 있다고 단언했다. 우선은 꽃을 잘 만든 다음에 스스로 마케팅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20년 전에 미국에 건너온 이씨는 건축가 출신. 현역 은퇴를 준비하다가 식물에 눈을 돌리게 됐고 태안영농조합법인과 선이 닿았다. 농장은 자신이 직접 70%의 지분을 출자했다.

묘목을 대만에서 수입한다는 그는 “호접란은 농장으로 들여오는 원가 자체가 워낙 비싸고 임대비, 인건비, 가스·전기료, 물류비 등을 감안해 본당 9∼10달러를 받으면 사업성이 없다”며 “더구나 품질이 나쁘면 시장에 내놓지도 못한다”고 품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씨가 지난해 10월부터 올 8월까지 들여온 호접란은 1만3000본. 이 가운데 5000본을 출하했다. 잘 키웠다고 한 꽃이 13달러였다.

그는 “미 동부는 수송상의 문제가 있고 대미지도 크기 때문에 시장 개척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마케팅이 중요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