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감귤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수입자유화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감귤소득보상정책 등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제기됐다. 김경택 제주대 농업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제주대 아열대농업동물과학연구소가 펴낸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지에 게재한 ‘제주감귤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경제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위기에 처한 제주감귤을 살리기 위한 국제경쟁력 제고방안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제주감귤농업은 수급 불균형 때문에 가격이 불안정한 가운데 오렌지 수입자유화에 이어 도하개발아젠다(DDA) 농업협상,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수입개방압력이 거세지고 관세도 계속 인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수입충격완화를 위한 방안으로 오렌지 및 과실류 수입 개방으로 감귤가격이 하락함으로써 발생하는 농가 피해를 소비자들이 수입개방으로 얻게 되는 이득 중의 일부로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감귤소득보상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또 수입 충격의 완화 방안으로 오렌지 수입개방 요청국가의 과일 및 농산물 수입 규제방식을 수용하고 수입 오렌지에 대한 탄력관세 부과 제도화, 감귤계약출하사업 도입 등을 역설했다.

끝으로 김 교수는 감귤농업의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수입 충격의 완화를 위한 제도 도입 △생산비 절감 △감귤원의 재편 정비 △유통비용의 절감 △해외시장의 개척 방안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