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너무 커" 23일 계약 해제 공시…이스타 청산 가능성 높아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책임 반드시 물을 것"…노조도 정부대책 요구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 인수 포기를 공식화했다. 국내 첫 항공사 간 인수·합병(M&A)이라는 점에 줄곧 주목받았던 행보가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끝내 무산되면서 계약 파기 책임을 두고 법정 공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제주항공은 23일 "지난 3월 2일 이스타홀딩스와 체결했던 이스타항공 주식매매계약을 해제한다" 공시했다. 

계약 해제 이유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의지와 중재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상황에서 인수를 강행하기에는 제주항공이 짊어져야 할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는 점을 들었다. 또 주주를 포함한 이해관계자들의 피해도 우려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스타항공과 이스타홀딩스는 즉각 입장문을 내고 "제주항공의 주장은 주식매매계약서에서 합의한 바와 다르고 제주항공은 계약을 해제할 권한이 없다. 오히려 제주항공이 주식매매계약을 위반하고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스타항공 또 제주항공의 주식매매계약 이행을 재차 촉구하며 "계약 위반·불이행으로 인한 모든 책임은 제주항공에게 있다. 1500여명의 임직원과 회사의 생존을 위해 모든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피력했다.

제주항공과 M&A 무산으로 이스타항공은 파산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2월부터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면서도 M&A 성사를 위해 체불임금 반납·연봉 삭감까지 동의했던 직원 1600명은 직장을 잃게 된다.

선결조건 이행 여부는 물론 이스타 항공의 셧다운, 체불임금 책임 문제를 놓고도 양사의 입장 차가 엇갈리는 만큼 향후 계약 파기의 책임을 두고 치열한 법정 공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박이삼 이스타항공조종사노동조합 위원장은 23일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의 구조조정에 몰두하며 이유 없이 전면 운항 중단하는 등 자력 회생 기회를 빼앗은 책임을 강력하게 묻겠다"며 "또 노조는 이스타항공 회생을 위해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할 것을 정부에 촉구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