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년간 1곳서 올해 12곳 급증…지원기간 2개월 연장 부족
코로나19로 극심한 타격을 입은 제주지역 여행업계의 회복이 요원하다. 특별고용지원업종에 대한 지원기간 연장이 2개월에 불과해 앞으로 실업사태 우려가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지난달 28일 노사정 협약식을 통해 여행·관광업 등 8개 특별고용지원업종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지급 기간을 기존 180일에서 240일로, 지급 기한도 9월 15일까지에서 연말까지로 각각 연장했다.
제주지역 여행사들은 정부가 지난 3월 여행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한 이후 당장은 휴업에 따른 고용유지지원금으로 간판을 내리는 일은 막았다.
하지만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기간 60일 연장 조치에도 그 기간이 8~9월에서 10~11월로 늦춰졌을 뿐인데다 사드사태와 겹쳐 매년 50곳 가까이 폐업해온 상황에서 지원금을 일찍 받은 업체는 지원기간 만료 이후 대책이 사실상 없는 실정이다.
2일 한국여행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이후 지난달 31일까지 도내에서 휴업한 여행업체는 12곳에 이른다.
매년 40~50개 업체가 비슷한 숫자로 개업과 폐업을 반복해왔지만 휴업이 이처럼 많은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사드 사태가 발생한 지난 2016년 이후 4년간 도내 여행사 휴업 사례는 2019년 단 1곳이었다.
도내 여행업체가 앞으로 남은 기간 유급휴업에 따른 고용유지지원을 소진할 경우 무급휴업·휴가에 대한 지원금 제도가 남아있지만 도내 업체가 신청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무급 휴업·휴직지원금은 고용노동부 지역노동위원회에서 심사 후 지원 결정하기 때문에 신청한다고 지원받는다는 보장이 없고 지원조건인 10인 이상 사업장에 해당하는 업체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하반기 들어 지난해 80% 수준으로 내국인 여행객 회복세가 나타났지만 개별여행객에 치우쳐 앞으로의 전망도 어둡다.
올 들어 6월까지 내국인 개별여행객이 420만7400명으로 지난해 -18.6%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인 반면 여행사의 주요 고객인 패키지(3만5700명, -91.7%)와 부분패키지(10만5200명, -89.0%)은 거의 자취를 감췄다.
다만 앞으로 코로나19 진행상황에 따라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원기간이 추가될 가능성이 있고 한국여행업협회도 고용노동부에 기간 연장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다. 김봉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