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누적 강수량 1000㎜ 기록적 폭우 침수 속출
강풍 피해 616건·4만335가구 정전, 단수 등 불편

9호 태풍 마이삭으로 평화로와 제2산록도록, 애조로, 교래교 등에서 도로 침수가 발생해 운행 차량들이 갇히는 등 혼란을 겪었다. 미처 태풍 피하지 못한 차량이 도로 밖으로 밀려 구조를 기다리고 있다.
9호 태풍 마이삭으로 평화로와 제2산록도록, 애조로, 교래교 등에서 도로 침수가 발생해 운행 차량들이 갇히는 등 혼란을 겪었다. 미처 태풍 피하지 못한 차량이 도로 밖으로 밀려 구조를 기다리고 있다.

 

매우 강한 태풍 마이삭이었다. 한라산과 만나 큰 비를 뿌린 것도 모자라 강풍으로 제주 곳곳에 생채기를 남겼다.

제주지방기상청은 3일 오전 6시를 기해 제주도 육상과 해상에 내려진 태풍특보를 강풍주의보와 풍랑경보로 각각 대치했다. 태풍은 멀어졌지만 각종 기록과 상처가 남았다.

기상청에 따르면 10시부터 이날 오전 4시까지 지점별 누적 강수량은 제주 184.0, 산천단 391.5, 서귀포 236.2, 신례 465.0, 성산 265.0, 금악 373.5등이다.

한라산 남벽에 1033.0를 비롯해 영실 958.0, 윗세오름 955등 한라산을 중심으로 기록적인 폭우가 내렸다. 산을 타고 내려온 빗물에 대조기까지 겹치며 섬 곳곳이 제주시 도심 마을과 길은 물론 항·포구가 침수됐다.

제9호 태풍 '마이삭'이 제주를 강타한 2일 오후 거센 비바람이 몰아치면서 제주시 동문재래시장 인근 하천인 산지천의 물이 크게 불어나자 공무원들이 하천 주변에 자동차를 주차하지 못하도록 안전조치하고 있다.  연합
제9호 태풍 '마이삭'이 제주를 강타한 2일 오후 거센 비바람이 몰아치면서 제주시 동문재래시장 인근 하천인 산지천의 물이 크게 불어나자 공무원들이 하천 주변에 자동차를 주차하지 못하도록 안전조치하고 있다. 연합

 

제주도 재난안전본부의 태풍 조치 내용을 보면 2일 오후 1120분께 태풍 에 따른 폭우와 만조 현상이 겹쳐 해안 부근 마을인 제주시 삼도 119센터 인근 저지대 마을이 침수되면서 주민들이 대피했다.

태풍 마이삭이 퍼부은 폭우에 만조 현상까지 겹쳐 2일 밤 제주시 삼도2동 119센터 인근 저지대 주택 여러 채가 침수됐다.사진은 3일 새벽 물에 잠긴 삼도2동 골목길의 모습. 2020.9.3. 연합뉴스
태풍 마이삭이 퍼부은 폭우에 만조 현상까지 겹쳐 2일 밤 제주시 삼도2동 119센터 인근 저지대 주택 여러 채가 침수됐다.사진은 3일 새벽 물에 잠긴 삼도2동 골목길의 모습. 2020.9.3. 연합뉴스

 

4050높이의 물이 차면서 마을 안길이 물길로 바뀌었다. 차량 바퀴가 반 이상 잠길 만큼 잠기면서 차량 통행에 차질이 빚어졌다.

제주시 외도동 도심권 하천인 월대천이 범람 위험수위에 도달하면서 주민 90여 명에 대피하기도 했다.

한천과 병문천 등 평소 물이 흐르지 않는 건천들도 만수위까지 물이 차오르며 주변을 긴장시켰다.

태풍 마이삭으로 평화로와 제2산록도록, 애조로, 교래교 등에서 도로 침수가 발생했다. 3일 도로 복구 작업이 한창이다.
태풍 마이삭으로 평화로와 제2산록도록, 애조로, 교래교 등에서 도로 침수가 발생했다. 3일 도로 복구 작업이 한창이다.

 

태풍 마이삭 영향으로 제주시 용담해안도로 일부 구간이 훼손됐다.
태풍 마이삭 영향으로 제주시 용담해안도로 일부 구간이 훼손됐다.
태풍 마이삭으로 탑동 광장 등에 밀려온 쓰레기를 지역 자생단체 회원들이 정리하고 있다.
태풍 마이삭으로 탑동 광장 등에 밀려온 쓰레기를 지역 자생단체 회원들이 정리하고 있다.
3일 태풍 마이삭으로 탑동 광장 등에 밀려온 해초와 쓰레기를 치우는 작업이 한창이다.
3일 태풍 마이삭으로 탑동 광장 등에 밀려온 해초와 쓰레기를 치우는 작업이 한창이다.

 

평화로와 제2산록도록, 애조로, 교래교 등에서 도로 침수가 발생해 운행 차량들이 갇히는 등 혼란을 겪었다

앞서 오전에는 제주시 우도면 천진항이 물에 잠겨 일대 출입이 통제되기도 했다.

마이삭은 많은 비뿐만 아니라 강한 바람으로 피해를 키웠다.

오전 4시 기준 지점별 최대순간풍속은 고산 초속 49.2, 새별오름 44.7, 성산수산 41.0, 마라도 40.0, 제주 37.1등이다.

태풍이 제주를 할퀴고 지나가면서 제주항 등 도내 항포구에 정박해 있던 모터보트들이 침몰하는 사고가 속출했다. 강한 바람에 가로수와 신호등도 맥없이 쓰러졌다.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서는 비닐하우스가 강풍에 무너지는 사고도 났다. 3일 오전 4시 기준 총 616건의 강풍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태풍이 제주를 할퀴고 지나가면서 제주항 등 도내 항포구에 정박해 있던 모터보트들이 침몰하는 사고가 속출했다. 3일 제주항에 침몰한 보트를 인양하고 있다.
태풍이 제주를 할퀴고 지나가면서 제주항 등 도내 항포구에 정박해 있던 모터보트들이 침몰하는 사고가 속출했다. 3일 제주항에 침몰한 보트를 인양하고 있다.

 

강한 바람을 동반한 무이삭의 영향으로 3일 오전 4시 기준 총 616건의 강풍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강한 바람을 동반한 무이삭의 영향으로 3일 오전 4시 기준 총 616건의 강풍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정전·단수로 인한 불편도 컸다. 강풍으로 인해 고압선 등이 끊어지면서 서귀포시 호근동을 비롯해 제주시 연동, 노형동, 애월읍, 이도동, 용담동, 한림읍, 서귀포시 성산읍, 법환동, 표선면, 호근동, 대정읍, 남원읍 등 제주 도내 4335가구가 정전됐다. 마이삭으로 전국에 걸쳐 20만 가구가 정전 피해을 입었다. 5가구 중 1가구는 제주일 만큼 충격이 컸다.

이날 오전 630분 현재 7000가구 정도가 복구되지 않은 상태로 파악됐다.

제주시 아라동과 해안동, 서귀포시 표선면, 회수동, 중문동 일부 지역은 정전 영향으로 3일 오전 수압 저하와 단수 등 물 공급에 차질을 빚었다. 김경필.한권.김봉철.양경익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