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비중 외 시책 온도차 등 변수 산적
“산업, 복지, 교육 연계 등 다각적 고민해야”
서귀포 17개 읍·면·동 중 20대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예래동, 65세 이상 고령 비율이 높은 곳은 중앙동이었다. 읍·면·동별 인구 편차에 따른 맞춤형 시책과 더불어 지방소멸에 대응한 다각적 고민이 주문되고 있다.
10일 국가통계포털 인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준 서귀포시 20대 인구 비중은 10.16%였다. 읍면동별로는 예래동이 12.0%로 평균과 편차가 가장 컸다. 중문동(11.38%)과 동홍동(11.7%), 서홍동(11.24%), 안덕면(11.17%), 영천동(10.97%), 송산동(10.35%), 대천동(10.29%)이 상대적으로 20대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분류됐다.
30대(서귀포시 10.63%)는 사정이 달랐다. 대천동이 15.17%로 젊었다. 대륜동(14.59%)·중문동(13.76%)이 그 뒤를 이었다. 20대 비중이 가장 높았던 예래동의 30대 비중은 11.4% 수준이었다. 서홍동 11.7%, 안덕면 11.17% 등으로 차이를 보였다. 대정읍(8.11%)과 성산동(8.79%), 정방동(8.47%), 영천동(8.37%)은 8%대에 머물렀다.
반대로 65세 이상 노인 비중은 중앙동이 27.0%로 서귀포 평균(20.06%)과 큰 차이를 보였다. 가장 낮은 서홍동(14.57%)과는 12%포인트 가량 편차가 있는 등 서귀포 동 지역이란 구분 안에서 온도차를 보였다.
예례동 역시 20·30대 비중이 다른 읍·면·동에 비해 높은 편이었지만 65세 이상 비중도 24.1%나 되는 등 지역 시책 추진에 있어 주민 호응을 얻어내기 힘든 약점을 드러냈다.
노인 비중이 14,6%에 머문 대천동 역시 ‘제주민군복합관광미항’이란 요인을 제외했을 경우의 수를 시책에 반영할 필요가 제기됐다.
출산률 저하 등의 분위기 속에 구조적 인구 증가를 위한 대안 마련도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제주는 올해부터 10년 동안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방소멸대응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다. 지역 맞춤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고향사랑기부제도 국회 문턱은 넘었지만 내년 1월 시행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최근 발표한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 일자리 사례와 모델, 연구보고서를 통해 ‘일자리 창출’을 중심으로 한 패러다임 변화를 주문했다.
정보원 관계자는 “서귀포시의 높은 고용률(2021년 하반기 72.5%, 전국 1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역 경제의 구조적 변화에 대한 대응이 시급하다”며 “지역 주도성을 강화하는 한편, 산업과 복지, 교육이 서로 연계된 일자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