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제주연구원, 16일
마이스산업 활성화 정책토론회
"뷰로 역할 강화, 인프라 확충
지역경제 연계 소비 창출 고민"
제주 마이스(MICE) 산업 재도약을 위해서는 컨벤션뷰로를 중심으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제주 주력산업과 연계한 행사 유치 등 지역 브랜드를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와 제주연구원은 16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제주 마이스(MICE) 산업의 현안과 대응을 주제로 제주 마이스 산업 활성화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윤유식 경희대학교 교수는 마이스 산업 트랜드 및 제주마이스 발전방안 발제를 통해 제주컨벤션뷰로 역할 강화를 바탕으로 한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유식 교수는 "컨벤션뷰로가 마이스 행사를 유치하는 마케터 역할뿐 아니라 마이스 이해관계자간 중재자이자 마이스 중심 지역경제 발전을 이끄는 개발자, 마이스 사업체 및 인력을 양성하는 육성가, 지역특화 마이스 행사를 개발하고 개최하는 생산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윤 교수는 또 지역이 보유한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마이스 산업의 지속 성장 및 발전 필요성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제주의 자연환경과 인프라, 웰니스, 신재생에너지 등 연관 산업을 중심으로 한 비전 설계 및 브랜딩 검토를 주문했다.
홍성화 제주대학교 교수는 제주 마이스 산업의 가치창출을 통한 발전방안 발제에서 도내 관광지와 카페, 골목상권, 농어촌 마을 등 매력적인 장소 베뉴로 활용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어 홍성화 교수는 제주형 마이스 복합지구 조성을 제안하며 "숙박·쇼핑·관광 등 인프라가 갖춰진 중문관광단지와 숙박이 밀집된 신제주 및 탑동 일대 지역을 마이스 복합지구로 지정하고 마이스 행사와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할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홍 교수는 "회의장과 주요 관광지 등에 제한된 마이스 참가자의 지출을 골목상권 등으로 증대하기 위한 할인 혜택 제공, 관광프로그램 개발 등 소비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신승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