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전 운수권 따라 증편
양국 항공사 각각 주 608회
제주-상하이 등 재개 예상

한·중 정부간 항공노선 증편 합의가 완료되면서 제주관광업계의 숙원인 중국과의 직항노선 재개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코로나19 이전 한·중 정부간 체결한 항공협정상 운수권 수에 따라 한-중 노선을 증편하는 방안을 합의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합의로 양국 항공사는 이날부터 별도의 제한없이 종전에 각국이 보유하고 있던 운수권에 따라 각각 주 608회 운항할 수 있게 됐다. 한-중 노선은 코로나19 확산 이전 국제선 운항의 24%에 해당하는 주 1100여회를 운항했다.

특히 국토부는 이달 중으로 제주-상하이, 인천-베이징, 인천-상하이, 인천-칭다오, 인천-옌지 등 주요 노선을 중심으로 증편이 예상된다고 설명해 업계의 기대감을 키웠다.

현재 인천-베이징은 주 2.25회를 운항하고 있지만 주 45회까지 증편할 수 있다. 다른 노선도 올해 10월까지 순차적으로 증편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방역상 이유로 정부가 중국발 항공편 도착공항을 인천국제공항으로 일원화해온 조치도 지난달 28일 해제돼 국내 지방 공항과 중국 공항 간 국제선 운항이 순차적으로 재개되고 있다.

에어부산은 지난 1일 부산-옌지 노선의 운항을 재개했고 진에어와 티웨이항공은 각각 이달 16일부터 제주-시안, 대구-옌지를 운항할 예정이다.

다만 구체적인 증편 일정은 각 항공사별 수요와 중국 현지 공항의 조업 인력 등 준비상황을 고려해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증편방안 합의로 코로나19 기간 동안 누적된 양국 국민의 여객 수요와 기업간 비지니스 수요를 해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차질 없는 한-중 국제선 증편을 통해 최근 침체된 내수시장에도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