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입국전 검사 등 해제
중국 15일부터 40개국 추가
한국 제외 외교갈등탓 분석

제주관광업계가 고대하고 있는 중국인 단체관광 재개가 예상보다 늦어져 업계 피해가 장기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중국 문화관광부는 지난 10일 자국민의 해외 단체여행을 허용하는 국가 목록에 40개국을 추가하면서 한국은 배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된 40개국에는 베트남, 몽골 등 아시아 국가와  프랑스, 그리스, 스페인, 아이슬란드, 이탈리아, 덴마크, 포르투갈 등 유럽국가도 다수 포함된 반면 한국과 미국, 일본은 이번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중국이 지난달 6일 1차로 단체여행 허용 국가 20개국을 발표했을 때 한국이 제외된 것은 당시 양국 정부간 비자발급을 둘러싼 갈등이 심각했기 때문으로 분석됐었다. 

우리 정부는 앞서 1월 2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입국후 코로나19 검사와 단기비자 발급 중단, 항공기 증편 중단 등의 강도 높은 조치를 단행했고, 같은달 5일부터 입국전 유전자증폭(PCR) 및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 검사 음성확인서와 항공기 탑승시 큐코드 입력 의무화도 적용했다.

이후 중국 상황이 안정되자 지난달 11일 단기비자 발급 제한 조치를, 같은 달 17일 항공편 증편 제한 조치를 해제한데 이어 이달 1일부터 PCR 검사 의무를, 이달 10일에는 입국전 검사와 큐코드 입력 의무화까지 모든 조치를 68일만에 해제했다.

1차 단체여행 허용국가 발표 당시와 달리 현재는 양국이 비자 발급을 정상화했고 방역 강화 조치도 서로 해제한 상태다. 또 지난 3일부터 코로나19 이전 양국 정부간 체결한 항공협정상 운수권 수에 따라 한-중 노선을 증편하는 방안을 합의하는 등 단체여행 정상화가 기대되던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이번 2차 단체여행 허용국가에 한국이 제외된 배경으로 최근 한국 정부가 미국·일본과의 안보협력을 강화하고, 박진 외교부 장관이 "대만 해협에서 무력에 의한 일방적 현상 변경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히자 중국이 강력 반발하는 등 외교갈등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달 5일부터 열린 중국인민대표대회에서 중국인 단체비자 해제가 발표될 것으로 예상하고 4월초 단체비자 재개를 기대했던 관광업계도 당분간 추세를 지켜볼 수밖에 없게 됐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