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기간 해외여행 수요 ↑
반면 단체 허용국 제외 여전
"중국대사 긍정 답변" 불구
한·중 외교 관계 악화 '변수'
중국 노동절 연휴를 앞두고 단체관광 재개 시점에 대해 제주도내 관광업계가 '기대반 우려반'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단체관광 허용국가에 한국이 여전히 제외된 가운데 악화된 한중 관계 역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노동절(5월 1일) 연휴 기간인 4월 29일부터 5월 3일까지 중국 온라인 여행 플랫폼 페이주의 여행상품 예약이 전년 동기보다 10배 이상 늘어나는 등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제주를 방문하는 중국인 개별관광객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국 정부가 한국을 자국민의 해외 단체관광 허용국가에 포함하지 않으면서 인바운드 시장의 연휴 특수 기대감은 한풀 꺾이는 모습이다.
도내 관광업계 관계자는 "노동절 전후로 하반기부터 단체관광이 본격 재개될 것으로 전망했지만 아직까지 움직임이 없다"며 "패키지 관광이 우선 허용될 것으로 보이는데 모객 기간이 두달 정도 소요돼 노동절 연휴 기간 입도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시시각각 급변하는 한중 외교상황도 변수가 될 우려도 나온다.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은 지난 22일 제주벤처마루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시국 강연회서 한국에 대한 중국의 단체관광 재개에 대해 "싱하이밍 대사로부터 '진전된 일이 있을 것'이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불과 하루 뒤인 23일 중국 외교부가 홈페이지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의 대만 관련 발언에 대해 정재호 주중 한국대사에게 항의했다'고 밝힌 데 이어 한국 외교부도 "심각한 외교적 결례"라고 비판하는 등 대중 관계가 악화되는 모양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20일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대만 해협 긴장 상황에 대해 "힘으로 현상을 바꾸려는 시도 때문에 벌어진 일이며,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 힘에 의한 대만해협 협상 변경에 반대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향후 이같은 양국의 외교 관계가 향후 한국에 대한 중국 단체관광 재개 시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면서 도내 관광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신승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