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가보다 낮은 수매가
생산자비대위, 궐기대회
정부·도정 대책마련 촉구
극심한 인력난에 겨우 마늘 수확을 이어나가고 있는 마늘농가가 거리로 뛰쳐나왔다. 올해산 마늘 가격이 계약 재배가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허탈감을 감추지 못한 농가는 정부와 제주도정을 향해 마늘 수매량 확대와 수매 단가 인상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정읍 지역 농민 등으로 구성된 마늘생산자 비상대책위원회는 18일 대정농협과 제주도청 앞에서 '마늘 생산비 보장과 제주농업 사수 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궐기대회의 배경에는 대정농협이 올해산 마늘 수매 단가를 ㎏당 3200원으로 설정한데 있다. 이는 기존 계약가인 ㎏당 3500원보다 낮다. 지난해의 경우 ㎏당 4400원 수준이었다.
올해 제주산 마늘 생산량이 1만9000t으로 평년보다 증가했는데, 지난해산 마늘 재고량이 아직도 많고 수입산 마늘도 쏟아지면서 가격 하락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대정농협의 이런 가격 설정은 안덕, 한경 등 다른 마늘 주산지 농협의 수매가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거리로 나온 비대위는 "마늘 농가들은 불안한 마음으로 1년전 파종한 마늘을 수확하고 있다"며 "기뻐해야 할 수확은 온데 간데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전국 마늘생산자협회에서 정부수매 3만t을 요구했지만 아무런 대답이 없다"며 "정부는 마늘이 조금 남아 돈다고 시장 원리대로 하라고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소비자 물가 운운하며 수입 농산물로 가격을 조정한다. 농민들의 목을 조르는 것임에도 방관만 하고 있다"며 "정부는 국민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의무와 농업, 농촌을 보호 육성해야 하는 의무를 저버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대위는 "농업을 책임지는 정부 뿐 아니라 정부대책만 바라보는 제주도정도 문제"라며 "제주마늘 농가가 다 죽은 다음에야 정책을 만들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정부의 즉각적인 수매와 함께 △도정의 마늘 수매 대책 △제주마늘 가격 생산비 3500원 보장 △안전한 농업 대책 등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