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적 보상안 촉구
마늘농가 도청 앞 기자회견
재난지원금 산출 근거 의문
벌마늘 상품기준 가격 보장
도의회서는 지원 방안 쟁점
제주지역 벌마늘 피해 조사가 마무리되며 정부 재난지원금 지급이 시작될 예정이지만, 도내 마늘 농가는 "현실적인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제주지역 마늘 농가에서는 제주도 및 정부가 피해 물량을 전량 수매할 것을 촉구했다.
제주마늘생산자협회는 13일 제주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정부는 벌마늘 3000t을 즉각 수매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정부는 재해 선포를 해놓고 수매 발표를 늦추고 있다"며 "마늘 농민들은 재해 인정을 받고서도 판로를 걱정하고, 생산비 조차 걱정하며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재난지원금은 진정 생산비를 감안한 것인지 의심스럽다"며 "농심을 우롱하고 있거나 생산비 산출이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협회에 따르면 1년 마늘농사에 ㏊당 약 5400만원이 소요되고, 벌마늘 등으로 인한 피해는 약 2000만원 내외로 추산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 재난지원금은 800만원 수준이다.
협회는 "실적이고 실질적인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와 제주도는 벌마늘을 즉각 수매하고, 상품기준 가격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날 제주도의회에서 진행된 '마늘 생장피해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관계기관 및 단체와의 간담회'에서도 마늘 수매 지원 방안이 쟁점이 됐다.
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가 개최한 이날 간담회에는 제주도, 제주농협, 제주마늘생산자협회, 주산지 농협 조합장, 농가 등이 참석했다. 또 마늘 주산지를 지역구로 두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김승준(한경)·양병우(대정)·하성용(안덕) 의원이 함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농협과 계약재배를 하고 있는 농가의 경우 어느정도 피해구제를 받을 수 있지만, 20%로 설정된 농가부담금이 과도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에 벌마늘 피해에 대한 농가부담금은 제외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 계약재배 외 농가도 구제받을 수 있도록 행정당국이 별도의 지원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다만 당국은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