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지하수 사용 '논란'
오염된 연안수 악영향
수온조절 위해 반강제
보험 등 보상 적용 안돼
행정 지원 등 서부 집중
올해 고수온주의보 발표 후 제주 서부지역 육상양식장 폐사 피해가 심각한 가운데, 동부지역에서도 폐사가 잇따르고 있지만 피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동부지역의 경우 고수온 피해를 막기 위해 염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는데, 염지하수가 오히려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고수온 피해로 인정받지 못하는데다, 각종 행정지원마저 서부지역에 편중되고 있어 갈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19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내 어류 육상양식장은 지난해 말 기준 354곳으로 동부지역 241곳, 서부지역 112곳, 기타(추자도) 1곳이다.
지역별로는 동부지역의 성산읍이 81곳으로 가장 많고, 서부지역의 대정읍이 72곳으로 뒤를 잇고 있다.
도에 따르면 지난 7월 24일 고수온주의보 발표 후 같은달 31일부터 제주지역 육상양식장에서 광어 폐사가 발생하고 있다. 이달 5일 집계된 폐사 피해는 약 838t으로, 피해액은 약 26억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는 지난해 피해액 20억원을 이미 넘어선 것이다.
피해 현황을 비율로 보면 대정 60%, 한경 26.6%, 한림 4.7% 등 서부지역에 집중됐다.
문제는 동부지역에서도 폐사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고수온 피해로 인정받지 못해 집계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제주어류양식수협에 따르면 고수온주의보 발령 이후 동부지역에서도 각종 질병 피해가 잇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양식장 10곳에서 전량 폐사가 보고되는 등 1곳당 약 20t의 폐사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치어와 성어를 가리지 질병이 번지고 있어 앞으로 피해가 더 커질 전망이다.
하지만 동부지역 양식장 폐사는 고수온 피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동부지역의 경우 염지하수를 이용하면 적정 수온을 관리할 수 있다는 이유다.
이를 두고 동부지역 양식업자들은 염지하수 이용이 어류 폐사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고수온 피해를 막기 위해 염지하수를 이용했는데, 오히려 질병 피해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고수온에 의한 피해가 아니기 때문에 어떤 보상도 받을 수 없었다. '재해'로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 액화산소 등 운영비 절감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마저 서부지역에 편중되다보니 동부지역 양식어가의 불만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약관상 질병피해에 따른 폐사는 보험혜택을 받지 못한다. 질병피해 폐사량도 집계하고 있지 않아 피해 분석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예산이 한정되다보니 모든 어가를 지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제주어류양식수협 관계자는 "제주의 연안수가 이제는 어류양식 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며 "하지만 양식어가들이 수온 조절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쓴다.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단순히 사용 가능여부에 의한 차별이 있어서는 안된다"며 "울며 겨자먹기로 염지하수를 사용하지 않도록 대책이 마련되거나, 염지하수 사용에 의한 피해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