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구체적 시기 등 준비 중 3분기 내 시행”
전체 관광객 증가하지만 제주방문 감소 우려
“중국 관광객 끌어들일 타깃 마케팅 등 필요”
현재 제주에서만 시행되고 있는 중국인 관광객 무비자 입국의 전국 확대가 조만간 시행될 예정인 가운데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들을 제주로 끌어들일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지난 3월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고 있던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은 중국인 관광객 무비자 입국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방한 관광시장 글로벌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당시 최 대행은 “중국인 관광객 수 회복이 가속화되도록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한 한시 비자 면제를 3·4분기 중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중국인 관광객은 제주도에 한해 30일 무비자 체류가 가능한 데 이를 한시적으로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이미 3분기가 시작된 상황에서 문화체육관광부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 한시적 무비자 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현재 구체적인 시기나 세부 사항 등이 확정되지 않아 소관 부처인 법무부와 협의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3분기 중 시행할 계획인 것은 맞다”고 설명했다.
이번 한시적 무비자 정책과 관련해 제주에서는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는 상황이다.
한중 상호 무비자 정책에 따라 중국인 단체관광 수요가 회복되면서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이 증가할 경우 제주 역시 관광객 증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제주에만 허용되고 있는 무비자 제도가 전국으로 확대되면 제주의 강점이 사라져 중국인 관광객 수요가 서울과 부산 등 국내 주요 도시로 분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무비자 입국 확대로 인해 불법 체류나 외국인 범죄 우려 증가, 치안 부담 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도내 관광업계에서는 한시적 무비자 전국 확대가 시행되기 전 제주 관광만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도내 모 관광업계 관계자는 “전국 무비자 확대가 제주에 미치는 영향은 양면적으로 중국인 관광객 유입 확대라는 기회는 분명하지만 관광객 분산과 치안 문제로 인한 리스크도 현실적인 위협”이라며 “관광업계의 전체적인 파이가 커지는 지금 기회를 제대로 살리지 않으면 관광객 유입이라는 열매는 건들이지 못하고 리스크만 떠안게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지금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조속히 중국 단체 특성을 반영해 제주만의 경험과 테마를 중심으로 한 상품을 개발하고 홍보해야 한다”며 “무비자 제도 확대에 따른 여권 정보 공유, 체류관리 효율화, 경찰·지자체간 협력 강화 등 치안·관리 강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