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4년제 대학의 정시 합격점수 공개 기준이 달라지면서 2026학년도 정시 예측이 평소보다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측됐다.

종로학원이 23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입정보포털을 통해 전국 주요 4년제 대학교 99곳을 대상으로 2025학년도 정시 합격 점수 공개 기준을 분석한 결과 의대 모집이 크게 확대된 직전 해와 다르게 발표한 대학은 81곳(81.8%)로 나타났다. 10곳 가운데 8곳꼴로 정시 합격점수 공개 기준이 바뀐 것이다.

대학 81곳 가운데 72곳은 정시 합격점수 기준점을 국어, 수학, 탐구 과목별 백분위 점수로, 9곳은 자체 환산 점수로만 공개했다.

제주대를 포함한 지역거점국립대학교 13곳 중 10곳도 국·수·탐 과목별 백분위 점수로만 공개했다.

의대 모집 확대 전인 2024학년도까지는 대부분의 대학은 최저 등록자 기준으로 학과별 국·수·탐 합산 평균 백분위 점수로 내놓아 수험생들은 합격 가능성을 대체적으로 예측 가능했다. 합격 점수 공개 기준이 달라질 경우 전년도와 점수 변화 비교가 어렵고 대학·학과간 상대 비교 역시 어려워 수험생들이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종로학원은 "내년 의대 모집정원이 대폭 줄었고, 사탐런 현상이 크게 발생해 탐구 과목에 대한 변수가 커진 상황"이라며 "절대평가 영어 과목에서조차도 수능이 어렵게 출제돼 수험생 정시 합격 점수 예측이 매우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정시 수험생들은 이러한 각 대학들의 발표 점수 기준점이 달라진 점을 기본적으로 인식하고, 발표 방식이 동일하게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2024학년도 이전 데이터와 2025학년도 달라진 합격점수 발표 등을 종합적으로 들여다 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은수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