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드/제주도의원 지역구 조정 어떻게 이뤄지나]
서귀포시 선거구 유지 관심
정방·중앙·천지+서홍 유력
제주시 의석 추가 확보 관건
통폐합 지역 선정 의견 분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이뤄지고 있는 제주도의회 의원 선거구 조정이 난항을 겪고 있다. 서귀포시 선거구를 현행 10석으로 유지할지, 9석으로 줄일지에 제주도민 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또한 제주시 선거구 가운데 통폐합 대상이 일도2동갑선거구와 일도2동을 선거구가 될지 등에 정치권과 도민사회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서귀포시 선거구 유지냐 축소냐
제주도의회 의원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서귀포시 도의원 의석수에 도민사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헌법재판소가 제시한 선거구별 인구 편차 기준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구가 가장 적은 정방·중앙·천지동 선거구는 인근 선거구와 통합이 불가피하다.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제주시 선거구 분구를 위해 서귀포시 지역구 도의원 의석을 현행 10석에서 9석으로 줄이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이 방안이 결정되면 그동안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여론조사 등을 통해 검토하고 있던 정방·중앙·천지동 선거구는 동홍동 선거구와 통합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서귀포 선거구 축소는 서귀포 단체와 시민 등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산남 홀대론'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서귀포시 의석수를 축소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도내 정치권은 분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서귀포 의석수를 현재 10석으로 유지할 경우에도 정방·중앙·천지동 선거구는 인구 편차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인근 지역과 통합해야 한다.

서귀포시 의석 10석을 유지할 경우 서홍·대륜동 선거구를 분리해 서홍동 지역을 정방·중앙·천지동으로 합병하고, 대륜동을 단독 선거구로 유지하는 것이 유력하다.

△제주시 셈법 복잡
인구수가 많은 제주시 아라동과 애월읍 선거구는 분구해야 한다.

이로 인해 제주특별법 개정으로 확보한 1석 이외에 추가로 1석을 확보하기 위해 다른 선거구는 통폐합해야 한다.

서귀포시 의석수 10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분구 대상 이외 제주시 선거구를 조정해야 한다.

그동안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논의했던 사항은 한경·추자면 선거구를 인근 선거구와 통폐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도2동갑선거구와 일도2동을 선거구가 최근 인구수가 감소하면서 통합해도 선거구별 인구 상한선을 벗어나지 않아 통폐합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한경·추자면 선거구를 통폐합할지, 일도2동갑·을 선거구가 대상이 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다만 제주특별법 개정 과정에서 그동안 금지했던 '게리맨더링'이 조건부로 허용됐지만 이를 활용해 선거구 가운데 일부 지역만 조정하는 방안은 선거구 획정일까지 기간이 촉박한 점 등을 감안했을 때 현실화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이번 선거구 획정은 우선 서귀포시 선거구를 9석으로 줄이느냐 현재 10석을 유지하느냐에 따라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에 제주특별법이 개정되면서 선거구 획정과 관련한 조례안을 오는 29일까지 제주도의회가 처리하지 못하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주도의회 의원 선거구를 조정한다. 윤주형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