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편 등 여행경비·수요 상승
여객선 차량 선적 입도객 증가
반입대수 미집계 교통난 우려
환경보전분담금 반영 고려도
최근 항공료 급등과 좌석난 등으로 선박을 이용하는 관광객이 늘고 있지만 제주도의 대응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선박으로 들어오는 차량 실태 파악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교통난을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18일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등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17일까지 746만2450명이 제주에 입도했다. 이중 선박을 이용해 입도한 관광객은 36만2900명으로, 전년 동기 18만9272명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현재 제주항을 오가는 여객선 중 승용차를 선적할 수 있는 선박은 모두 10척으로, 이들 선박의 1회 운항 기준 선적 용량(승용차 기준)은 3100여대다.
실제 제주를 오가는 여객선을 운항하는 A선사의 경우 이달부터 8월 중순까지 25일간 승용차 탁송 예약이 2만5000여대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선박을 활용한 도외 차량 반입 증가와 함께 여름 성수기가 맞물리면서 도내 교통체증 및 주차난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도내 렌터카업체 등에 따르면 이달말부터 8월 중순까지 렌터카 예약률은 90%에 달한다.
성수기 교통난 해소 등 교통정책이 필요하지만 현재 행정당국은 선박으로 제주에 들어오는 도외 차량 대수조차 집계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선박으로 제주에 들어오는 도외 차량 대수는 각 여객선을 운항하는 선사가 개별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여기에 선박으로 들어오는 차량이 늘면서 현재 제주항 선석 부족 문제도 심화되고 있다.
또 제주도가 관광성수기 교통체증 해소 등을 목표로 2019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렌터카 총량제 등 정책이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따라 행정이 관련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교통정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 선박을 활용한 선적 차량에 대해 현재 시설에만 부과하도록 돼 있는 교통유발부담금 적용 대상을 확대하거나 제주 환경보전분담금 등 부과대상에 반영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신승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