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환도위 1차 회의서
현기종, 강경문 의원 지적

속보=관광 성수기 여행 비용 절감을 위해 자가용을 가지고 선박으로 입도하는 관광객 증가로 교통 혼란 가중이 우려되면서 이에 대한 교통유발금·환경보전기여금 부과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본보 2022년 7월 19일자 3면)이 제기된 가운데 도의회 역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제주관광협회 등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중순까지 입도한 750만여명 가운데 선박을 이용해 입도한 관광객은 36만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19만명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준이다.

도내 교통상황이 이미 포화상태인 가운데 선박을 통해 입도하는 차량으로 인해 교통난이 심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행정당국은 제주에 입도하는 차량을 집계조차 하지 않는 등 관련 현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향후 교통정책 수립에도 오류를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최근 여행경비 상승으로 당분간 선박·자차를 이용한 입도객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에 대응한 교통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행정이 관련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제주도의회 역시 이같은 문제를 지적하면서 현재 시설에만 부과하도록 돼있는 교통유발부담금 적용 대상을 확대하거나 도입 논의중인 환경보전분담금 부과대상에 선박 입도 차량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강경문 의원(비례대표)은 22일 열린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송창권) 도의회 제408회 임시회 1차 회의에서 "관광객들이 제주로 자가용을 가져오면서 교통유발이 가중되고 있다"며 "교통유발부담금을 시설에만 부과할 게 아니라 섬이라는 특성 등을 고려해 내려오는 차량에 부과하는 방안을 보완·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현기종 의원(성산읍)도 "육지부에서 자가용이 대거 들어오고 있는데 이들에 대한 징수계획은 마련되지 않은 듯하다"며 "관광패턴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환경보전기여금 도입·실행방안 마련 용역에 이같은 내용을 포함시켜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신승은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