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드름과 비슷하지만 심한 피지 분비, 홍조, 각질 등의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면 이는 여드름이 아닌 ‘지루성피부염’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지루성피부염의 경우 여드름으로 오인하여 환부를 자극하게 되는 경우 진물, 상처, 흉터 등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우려가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지루성피부염은 피지 분비가 문제가 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생각하여 단순히 피지 분비를 억제하는 방법을 통해 지루성피부염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피지를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피지 분비를 과도하게 유발하는 본질적인 원인을 찾는 것이다. 한의학적으로 바라본 지루성피부염은 체내 과잉 열이 핵심 원인이 되어 나타난다.
주된 원인은 면역력 저하와 연관이 깊은 지루성피부염은 피지 분비가 많은 부위에서 발생하며 두피나 얼굴에 붉은 반점과 비듬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이 호전되었다가도 악화 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얼굴, 두피, 겨드랑이, 앞가슴 부위 등에 발생하며 과도하게 스트레스를 받거나 피로한 경우, 피부가 자극받는 경우 그 증세가 악화된다.
지루성피부염증상은 치료가 까다로워서 제품을 이용한 홈케어나 연고 치료에도 나아지기 어렵고 호전이 됐다가도 쉽게 재발될 수 있기에 원인을 알고 치료해야 한다. 이에 대해 교대역 바른샘한의원 구재돈 원장은 “지루성피부염 치료를 받아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근본적인 치료가 이뤄지는 게 맞는지 의심해봐야 한다. 지루성피부염원인을 확실히 바로잡지 않으면 증상은 잘 낫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어 “지루성피부염원인은 피부가 아닌 우리 몸속에 있는데, 바로 열대사장애다. 우리 몸속에서 순환되는 열이 제대로 순환하지 못할 경우 열대사장애가 나타난다. 얼굴과 두피 쪽에 쏠려있는 열 때문에 피부가 자극을 받아 다양한 증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머리에 나타나는 걸 지루성두피염이라고 하는데, 두피지루성피부염, 머리지루성피부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선 원인인 열대사장애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해야 하는데, 치료법으로 한방에서는 한약을 복용하는 요법과 약침치료 등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원인해소와 함께 기혈순환과 체내 면역력도 도울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피부와 체질을 정확하게 파악한 뒤 처방해야 한다. 또한 악화를 막기 위한 식이요법이나 집에서 하는 셀프 홈케어 외용치료 등은 의료진의 지도하에 실천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피부는 몸의 가장 바깥에서 몸을 지켜주는 신체 기관으로 불가피하게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그로 인해 요즘과 같이 덥고 습한 계절이 되면 아토피, 두드러기, 지루성피부염과 같은 다양한 피부질환이 나타나기 쉬운데 이때 단순한 피부증상으로 여기지 말고 원인을 파악하여 원인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