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이 오늘로 사건발발 56주년을 맞았다. 이는 흘러온 오랜 세월만큼 풀어야하고 넘어야 할 난제가 쌓였음을 뜻한다. 그래서 이를 푸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 가늠할 수 있게 한다. 최근 몇 해 동안 4·3의 실타래를 풀기 위한 노력은 매우 다각적이고 괄목할 만하다. 지난해 정부는 공식적으로 4·3진상보고서를 채택했다. 대통령은 제주도민들에게‘4·3은 과거 국가권력의 잘못’이라고 정중히 사과했다. 비로소 도민들은 반세기 넘게 짓눌려왔던 이데올로기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하지만 4·3에 관한 정확한 진실 규명과 진정한 명예회복은 한참 모자라고 멀다. 때문에 4·3의 해결은 이제 끝이 아닌 또 다른 시작이다. 따라서 제주4·3은 여전히 매듭짓지 못한 진행중인‘ 미완의 역사’로 남은 셈이다.

2000년 이후 제주 4·3관련 문제를 풀기 위한 실천노력은 여러 방면에서 나타나고 있음은 고무적이다. 지난해 노무현 대통령의 사과는 역사적 의미가 크다. 과거 잘못된 국가권력에 대한 정부 차원의 사상 최초의 공식 사과였기 때문이다. 4·3의 진정한 해결을 위해 중앙과 지방정부가 과거와 달리 전향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올 들어선 교육당국이 자라나는 후세에게‘4·3역사교육’을 처음으로 시작했다. 전국에 있는 왜곡된 4·3역사 기록물에 대해 손질을 하고 있다. 지난해 첫 삽을 뜬 제주시 봉개동의 4·3평화공원 조성도 1단계 사업이 마무리를 눈앞에 두는 등 진행이 순조롭다. 4·3 희생자 심사·결정작업도 탄력을 받고 있다. 방치됐거나 훼손돼온 4·3 유적지에 대한 기초작업도 본격 추진되고 있다.

이와 달리 아직도 풀리지 않는 난제가 많다는 점은 매우 안타깝다. 4·3 관련 수형인 문제 등은 반공 이데올로기의 공세에 막혀 아직도 진전이 없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4·3.추모기념일 지정과 유족에 대한 생계비 지원문제도 4·3중앙위원회가 장기검토과제로 남겨둔 상태다. 집단매장지나 유적지 조사·발굴 등에 대해 여태껏 정부차원의 지원도 없다. 이밖에도 정부진상보고서 작성기획단이 정부에 건의했던 7개항에 관한 이행여부 점검도 지나칠 수 없다. 제주4·3의 진정한 해결을 위한 길은 멀고도 험하다.

제주4·3발발 56주년을 올해는 그 동안 제주도민들이 줄기차게 요구해온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이뤄나가는 또 다른 출발점이 돼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