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세계화로 대변되는 환경 속에 국가 경쟁력은 인적자원의 질에 의해 결정되며, 물적 자본이 한정돼 있는 우리나라는 더욱더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풍부한 감성과 섬세함을 갖춘 여성의 인적자원개발은 국가적 과제라해도 과언이 아닌데 그에 따른 사회적 기반은 아직 준비되지 않았다.

얼마전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사상 처음 50%를 넘어 50.1%가 됐다고 하였다. 단순히 통계로만 보면 여성 2명중 1명이 경제활동을 하는 것이니 대단한 것이라는 착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는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이 1995년 48.4%에서 2000년 48.8% 등으로 꾸준히 늘어난 것이라고는 하지만 여전히 OECD 가입국 중에서 최하위권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아이슬란드의 79%, 스웨덴의 76.1%, 덴마크 73.6%에 비하면 아직도 한참 모자라다는 점에서 대단하다는 평가는 아직 이르다. 그나마 여성들이 갖는 일자리의 40% 이상이 임시직이나 일용직이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2005년 기준 한국의 출산율이 1.08명으로 세계 최저수준이라는 것은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와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재앙에 가까운 이런 초저출산율 현상은 경기전망에 대한 불투명성과 자녀 교육비에 대한 부담 등도 일정부분 역할을 했지만, 그동안 여성들의 교육수준 향상과 함께 사회활동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 몫으로 간주돼온 출산과 양육에 대한 개인적 부담이 경감되지 않고, 그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뒤따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임신과 출산, 육아는 여전히 여성의 사회생활 전반을 통제하는 커다란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직 넘어야 할 과제와 사회적 제약들이 여성들 앞에 놓여있는 것이다.

출산율 하락은 그 끝이 보이지 않는 경주의 시작일지 모른다. 이제는 ‘안 낳는 것이 상책’이라는 나름의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는 여성들과 우리 모두의 미래를 위해 사회구조를 변화시켜 나가는 패러다임이 필요한 때이다. 정책적인 지원 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문화적인 지원을 포함해서 말이다.

7월1일부터 7일까지는 정부가 여성의 권익을 높이고 양성평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마련한 ‘여성주간’이다. 한주간만 여성에 관한 이슈를 고민하고 그치지 말자. 자녀양육을 비롯한 기존에 여성을 주 담당자로 여겨왔던 노인부양 등의 돌봄노동이 여성의 일이 아닌 사회 구성원 모두의 일이며, 이런 문제들이 ‘여성을 위한 정책’이 아닌 ‘사회전체를 위한 일반 사회정책’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여성의 일과 가정 양립 지원을 근간으로 근로여건 개선, 재취업 기회의 확대,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기회 제공, 여성인적자원의 체계적 관리 등을 통한 여성인적자원 개발로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쟁력을 제고해 나가야 할 것이다. <강수영 / 제주YWCA여성인력개발센터 관장>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