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민사회가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주특별조치도’의 우스개 소리로 부르면서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허술한 태풍 ‘에위니아’ 재해대응과 해파리 피해예방대책 등 주민과 밀접한 행정수행 태도를 보면 빈말이 아닌 듯 싶다.

지난 9일 오후 태풍 주의보 예비특보가 발령됐지만 제주시 동사무소에는 비상 소집된 공무원은 1∼2명에 불과했다.

반면 읍·면 동사무소에는 절반이상이 출근, 제주시 동사무소 분위기와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도 감사위원회의 조사 결과, 비상소집을 알리는 연락마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실도 뒤늦게 밝혀졌다.

특히 동사무소 비상소집에 대해 묻는 전화통화에서 나타난 공무원들의 답변은 허술한 재난 체계를 대변하고도 남는다.

태풍주의보가 발효되지 않은 시점에 출근할 필요가 없지 않는냐는 것이다.

도 재난안전본부가 가장 중요한 예찰활동을 간과하고 있는 셈이다.

이와 같은‘뒷북행정’은 해파리 피해 대책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 5일 해파리 모니터링 요원에 의해 독성이 강한 작은부레관해파리가 발견됐다.

지난해 피서철 도민과 관광객들을 놀라게 한 종이다.

하지만 도 해양수산본부는 예산타령뿐 태평한 분위기다.

도내 20여곳 해수욕장에 해파리 유입방지용 그물형 펜스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비용은 1억4000여만원.

지난해 독성 해파리 때문에 난리법석을 떤 도정이 이 정도의 비용에 예산타령으로 일관하는 것은 납득이 되지 않는 부분이다.

특히 인명피해가 발생하면 그물형 펜스를 설치하겠다는 것은 후진국형 행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특별자치도가 특별조치도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도지사가 위민행정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줄 때이다.<현유섭 기자·자치1팀>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