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진상규명에 한발짝 더 진전된 정부차원의 결정이 내려졌다. 4·3당시 불법적 군법회의에 회부돼 사형당하거나 억울한 옥살이를 한 사람들이 마침내 희생자로 공식 인정됐다. 희생자 868명과 유족 1565명이 명실상부한 ‘4·3희생자’로 포함된 것이다.

제주4·3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의 이번 심의결정은 한국현대사 정립에 큰 획을 긋는 일이다. 4·3의 흐름을 제대로 전할 수 있는 발판을 다지는 셈이어서 그 의미가 새롭다 하겠다. 그런가하면 또 다른 진상규명작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고도 남음직하다.

사형자와 수형인의 4·3희생자 확대결정은 당연한 결과가 아닐 수 없다. 합법적 절차없이 이뤄진 군법회의를 통해 사형수로, 수형인으로 인권을 유린당한 것은 억울한 일이다.
 
게다가 이렇다할 기록 하나없이 역사속에서 빨갱이나 폭도로 남아있었던 심정은 오죽했겠는가. 수없는 우여곡절을 겪은 당사자와 유족들을 생각하면 명예회복의 길을 훨씬 빨리 터줬어야 했다. 희생자로 추가된 대부분이 살아온 질곡의 세월은 너무나 길었음은 잘 아는 일이기 때문이다.

희생자 확대인정은 정부와 진상규명팀의 노력에 힘입은 것도 사실이다. 결코 쉽지 않은 결정임에도 불구하고 제주4·3의 진실도약 의지를 다시 한번 보여준 것으로 받아들인다. 4·3유족과 단체, 그리고 도민들의 이름을 빌어 격려를 보내고자 한다.

그럼에도 제주4·3의 진실규명을 다하기 위한 과제는 아직도 수두룩하게 남아있다. 희생자 추가신고는 물론 유해발굴 및 유적지보호 사업이 그렇다. 또 평화공원조성과 명예회복·보상문제도 남아있는 실정이다. 도민들이 4·3역사의 올바른 정립에서 결코 한숨 돌릴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제주4·3의 진실규명은 도민들의 몫인 동시에 정부의 몫인 것을 다시 한번 되새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