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특별법에 따른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가 마침내 얼굴을 드러냈다.행자부가 엊그제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한 정부·민간전문가 20명의 위원들을 확정 발표하고,조만간 역사적인 활동에 들어갈 것임을 밝혔다.만시지탄의 없지 않지만, 정부차원의 4·3진상규명작업이 이제 본 궤도에 진입했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며 기대 또한 크지 않을 수 없다.

 사실 4·3특별법의 후속조치로 이뤄지는 본위원회 구성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도민들의 불안과 실망이 없지 않았다.4·3특별법이 지난해 말 제정됐음에도 8개월 가까이 허송세월하면서다. 때문에 정부의 의지에 대한 의구심이 없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특히 위원회 구성을 둘러싼 그동안의 과정을 지켜보면서 이같은 의구심이 더해지기도 했다.하지만 이제 4·3진상규명과 명예회복 주체가 될 위원회가 구성되면서 이같은 도민불신과 우려는 기대로 바뀌고 있다.

 무엇보다 4·3특별법상의 위원회 구성과 관련해서 정부측이 적지 않은 고심이 엿보임은 고무적이다.특히 민간인 위원 선정에 있어서 당사자인 희생자 유족측을 배려한것과,덕망과 신망이 있는 각계의 전문가들을 위촉하고 있음이 그것이다.한때 위원회의 성격과는 걸맞지 않은 인사들이 거론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없지 않았다.4·3진상규명이 자칫 수구의 논리에 휘둘려 희석되고 왜곡되는 것이 아니냐는 조바심이 때문이었다.

 물론 4·3특별법의 위원회가 구성됐다고 해서 제주 4·3진상규명의 채비가 모두 끝난 것은 아니다.조만간 진상규명의 실무작업을 맡게될 진상보고서 작성 기획단이 제대로 구성되어야 하며,제주도 차원의 실무위원회의 구성 또한 시급하다.특히 진상규명의 실무작업을 맡게될 기획단의 역할과 기능은 매우 중차대하다.기획단의 보고서 작성여하에 따라 4·3의 성격 또한 규명될 것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따라서 향후 기획단의 구성은 위원회의 구성원들보다 더 많은 4·3의 전문지식을 지닌 사람들로 구성되야 할 것임은 불문가지다.

 정부차원의 진상규명 작업이 본궤도에 진입한 만큼,유종의 미를 거둬야 한다.나머지 후속조치들을 서둘러 4·3의 실체적 진실규명과 명예회복 작업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