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배경 내용 등 구체적으로 기록 적어

민간인 희생이라는 아픈 역사를 기록하고 기억하는 것은 미래를 위한 첫 걸음이다. 그러나 학교에서 사용되는 각 교과서 내 제주4·3에 대한 기록은 여전히 충분치 못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3~5일 제주오리엔탈호텔에서 개최되는 4·3 60주년기념 국제학술회의에서 김득중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는 ‘한국사 교과서의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관련 서술분석’발제자료를 통해 “민간인 희생에 대한 서술은 대한민국사의 부정적인 측면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올바른 역사인식을 갖기 위한 것”이라며 “1970년대 활발해진 나치의 유대인학살에 대한 독일역사교과서 서술은 과거청선의 모범적 사례로 거론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내 교과서의 민간인 학살 역사 서술은 여전히 충분치 못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김 연구사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6종의 검인정 ‘한국근대현대사’ 내 4·3서술방식을 살펴본 결과 4·3은 역사용어를 규정한 교과서 편수자료에 따라 ‘제주4·3사건’으로 통일, 표기되고 있다.

하지만 4·3의 배경이 되는 1947년 3·1절 시위사건을 서술한 교과서는 2종(대한·두산)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건발생원인과 내용에 대해서는 교과서 대부분이 ‘단독정부 수립 반대’를 이유로 들고 있으나 여기에 ‘미군 철수’를 언급한 교과서가 3종(금성·두산·법문), ‘경찰과 테러집단철수’을 함께 지적한 교과서는 1종(두산)으로 분석되는 등 사건내용을 상세히 밝힌 교과서는 1종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사는 또 “폭력극우단체였던 ‘서북청년회’가 제주도민에게 폭력을 행사해 제주도에서 큰 마찰을 일으켰고 사건이 증폭된 이유 중 하나였으나 이러한 사실이 전혀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며 “어떤 교과서(대한)는 ‘경찰 지서와 서북청년회 등의 우익단체들을 습격했다’고 표현해 마치 서북청년회가 무고하게 습격받은 것처럼 오해의 소지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김 연구사는 “5종의 교과서가 4·3으로 무고한 양민이 희생당했다고 밝히고 있으나 ‘수만명의 제주도민’(금성)이라는 구체적인 서술은 1종에 불과할 뿐 대부분은 ‘수많은 주민’ ‘무고한 양민’ ‘많은 양민’ 등으로 표현했다”며 “4·3이 1954년에야 종료되고 4·3특별법과 관련된 글을 싣는 등 구체적으로 서술한 교과서가 있는가 하면 단지 4·3이 일어났다는 정도만 서술한 교과서도 있다”고 밝혔다. 박미라 기자 mrpark@jemin.com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