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전승철

<박정범 감독 / 2008 / 20min 51sec / HD / color>


# 상영섹션 - 비열한 거리2

# 상영일정 - 8월 25일(월) 오후 5시


# 줄거리

하나원에서 나온 지 얼마 안 된 탈북자 승철에겐 모든 것이 낯설다. 휑한 임대 아파트에서 멍한 일상을 보내는 승철. 승철을 담당한 형사는 공장에 승철을 소개하지만, 탈북자라는 이유로 거절당한다.

길가에 버려진 옷장을 발견한 승철은 미련스럽게 옷장을 짊어지고 아파트로 돌아온다. 허름한 옷장만이 덩그러니 놓인 차가운 집 안, 찾아온 형사가 술에 취해 잠들자, 남겨진 승철은 추위를 피해 좁은 옷장 안으로 들어간다.

 

# 연출의도

보다 행복한 삶을 위하여 목숨을 걸고 내려온 탈북자들 대부분은 자본주의의 무게에 눌려 극빈층으로 힘들게 살아가고 있다. 여기 승철의 일상을 통하여 이 들의 어둡고 아이러니한 현실을 보여주고 싶었다.


# 영화 <125 전승철>은...

제목에서부터 주제의식이 명확하다. 제목의 '125'는 죄수이름 앞에 붙는 번호같다. 사실 이 번호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앞부분 번호다. '125'는 주민등록번호 상 탈북자를 나타내는 번호다.

제목을 '125'로 붙인 이유는 '전승철'을 탈북자로 알려주기 위한 정보이기도 하지만 죄수처럼 한국사회에 묶인 존재라는 상징이기도 하다.

영화 <크로싱>을 알고 있는 이들이라면 이 영화와 비교해서 봐도 괜찮다. <크로싱>과 <125 전승철>은 대척점에 선 영화다. <크로싱>에서 탈북자는 한국사회와 유리된, 다른 나라에서 넘어온 존재처럼 보여진다. 동족이라기 보다 거의 난민에 가깝다. 아무래도 그들의 사연이 슬플 수 밖에 없다. 동정심이 드는 것이 당연하고, 탈북자를 양산하는 북한사회를 비판하게 된다.

반면 <125 전승철>은 '한국사회'에 놓인 탈북자를 그린다. 탈북자를 소재로 삼지만 사실상 하고 싶은 이야기는 한국사회 비판이다. 동포라고, 인권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부르짖지만 실상 국내에서 살아가는 탈북자를 자본주의라는 거대한 체제로 짓누르는 한국사회의 모순을 꼬집고 있는 것이다.

<크로싱>은 감정이 넘쳐나지만, <125 전승철>은 감정이 메마르다. <크로싱>은 탈북자에게 관심을 가져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가족의 고통을 다뤘지만, <125 전승철>은 역시 탈북자에게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철저히 전승철을 한국사회에 혼자 떨어뜨린다.

탈북자에 대해 받아들이는 입장은 다 다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탈북자들은 현재 한국사회에서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이다. <125 전승철>이 더 현실감이 있는 이유다.  <이영윤 제주영화제 홍보팀장>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