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22주차 소아전염병표본감시서 제주 환자분율 전국 2번째…서귀포시 확인
어린이집 등 집단 생활 확산 가능성 배제 못하지만 “법정 전염병 아니다” 모르는 일

최근 국내에서 수족구병에 걸린 유아가 사망 또는 뇌사상태에 빠지는 일이 잇따르며 어린아이를 둔 부모들을 긴장시키고 있는 가운데 지역 보건당국이 지역내 수족구병 실태에 대해서는 ‘무관심’으로 일관, 빈축을 사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의 소아전염병표본감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서귀포시 지역에서 수족구병 환자가 발생했다. 22주차 표본 감시 자료를 기준으로 한 환자 분율은 0.237%·기관당 평균환자수가 1.763명인데 반해 제주는 환자분율이 0.410%로 강원(0.793%)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고, 기관당 평균환자수도 4명으로 집계됐다.

취재 결과 도내에서 소아전염병표본감시 기관으로 선정된 병·의원 4곳 중 1곳에서 환자 발생보고가 있었으며 만 2~4세의 환자 모두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계속된 환자보고는 없었지만 도내 소아과 의원이 종합병원을 제외하고 23곳이나 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추가 환자가 없다고 단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이번 수족구병이 확인된 환자 모두 고열 등 위험 증상을 동반하지 않고 가벼운 수포 증세에 그치기는 했지만 어린이집 등 단체 생활을 하고 있던 점에서 확산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무엇보다 최근 서울과 강원도 지역 어린이집 집단 감염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역 보건당국은 ‘법정 전염병’이 아니라는 이유로 사실상 ‘수수방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특별자치도 보건위생과 관계자는 “법정 전염병이 아니기 때문에 (지역 보건당국은) 수족구병을 관리하지 않고 있다”며 “어디서 어떻게 하는 내용은 질병관리본부에서 직접 관리하고 있어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수족구병의 법정 전염병 지정이 추진되고 있기는 하지만 지정된다고 하더라도 병·의원에서 보건당국에 신고하는 전산 시스템 개선 등을 감안하면 조기 도입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3살 자녀를 둔 직장맘 박모씨(31·제주시 연동)는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관리한다지만 지역실정을 잘 모르는 데다 표본감시 기관도 일부에 불과하다”며 “아이를 낳으라고만 할게 아니라 이런 부분에서 적극성을 보여주는 게 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