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 포커스] 감귤APC 이대로 좋은가
지난해 33.8%vs34.0% 경쟁력 강화 취지 퇴색
조합별 건립 경쟁에 중복 투자…순이익률 감소

▲ 감귤유통시설의 규모화·현대화를 위해 수백억원의 혈세가 투입돼 감귤APC가 건립됐지만 처리물량 부족, 낮은 순이익률 등으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감귤APC 내부.
감귤 APC는 감귤유통시설의 규모화·현대화를 목표로 수백억원의 혈세가 투입돼 건립됐다. 하지만 유통처리 비중 감소, 낮은 순이익률, 산·남북 지역 격차, 감귤 주산지 중복 투자 등 풀어야 할 과제도 산적하다는 지적이다.
 
△ 거꾸로 가는 APC
 
현재 도내에서 운영 중인 대형 감귤 APC 7곳과 7월 준공을 앞두고 있는 남원농협의 남원APC 건립에 투입된 예산은 총703억7200만원이다. 또 올해 착공될 예정인 제주지역조합공동사업법인의 서귀APC의 사업비 152억원5000만원까지 포함하면 856억2200만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운영주체인 농·감협의 자부담 206억3700만원(24.1%)이며, 나머지 649억8500만원(75.9%·국비 306억7000만원·지방비 343억1500만원)은 세금이다.
 
이처럼 막대한 예산이 투입됐지만 아직까지 건립효과는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감귤출하연합회의 노지감귤 유통처리 결과분석 결과 농·감협을 통한 노지감귤 처리비율은 2009년산 37.7%에서 2012년산 33.8%로 3.9%포인트 떨어지며, 상인·영농조합에 의한 처리 비중보다 낮았다.
 
반면 상인과 영농조합에 의한 유통처리 비중은 2009년산 32.5%에서 2012년산 34.0%로 증가했다. 1.5%포인트 올랐다.
 
특히 택배 등 기타 처리비중은 2009년산 10.3%에서 2012년산 21.4%로 갑절 이상 늘었다.
 
2006년 신흥APC가 처음으로 가동된 이후 2009년부터 농·감협 APC가 늘어나고 있지만, 농·감협을 통한 노지감귤의 계통출하 비중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 수백억 매출 수익은 찔끔
 
감귤 APC의 경영개선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실시한 '2013년도 과수거점 APC 경영평가 결과' 회수 APC의 지난해 매출규모는 268억7200만원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당기 순이익은 4억9800만원에 그치며, 10점 만점의 순이익률 평가항목에서 '6.2점'을 받았다.
 
또 남원APC(감협)는 총매출액이 247억8600만원에 달했지만, 당기 순이익은 1억9100만원으로 순이익률 평가항목 점수가 '2.6점'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토평APC는 227억200만원의 매출액을 기록했지만, 당기 순이익은 4500만원에 불과했다. 토평 APC는 전년 5500만원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된 것이 위안거리다.
 
그나마 흑자를 기록한 이들 3곳과는 달리 제주시 애월·조천 APC 2곳은 적자를 보이며 경영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월 APC는 매출액이 56억1000만원으로 당기 순이익은 1억9000만원 적자를 기록했다. 조천 APC 역시 매출액이 48억5400만원에 불과, 당기 순이익도 1억8700만원 적자를 보였다.
 
이에 따라 APC 운영평가에 대해 대표조직별로 정기 점검을 실시하는 등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 주산지 건립 경쟁
 
감귤 주산지를 중심으로 농·감협이 경쟁적으로 APC를 건립하는 것 역시 운영 효율성 제고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감협은 현재 애월·남원·회수·조천·위미 등 5곳에서, 농협은 토평·중문·남원(7월 준공) 등 3곳에서 각각 APC를 운영하고 있다.
 
또 올해 착공될 예정인 서귀APC도 남원읍 하례리에 들어설 예정이다. 결국 감귤의 대표적 주산지인 남원·중문 지역을 중심으로 농·감협이 경쟁적으로 APC를 건립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APC 건립사업 시작에 앞서 2005년 (사)제주감귤협의회가 제주대학교 용역팀에 의뢰해 실시한 'FTA기금 과수지원사업 연구용역'최종보고서에서 제시된 농가와 조합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지역농협과 감협이 사업시행주체를 단일화하는 방안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결과와 상반된 것이다.
 
당시 용역팀은 사업주체를 단일화할 경우 농·감협의 구조조정과 선과물량 확보 등에서 '지역농협+감혐'의 복수운영주체안에 비해 이점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 오락가락 정책도 한몫
 
APC 활용 부진에는 도의 오락가락 정책도 한몫하고 있다.
 
도는 지난해말 기준 554곳에 이르는 감귤 선과장을 오는 2017년까지 354곳을 감축할 계획이다.
 
연도별로는 △2012년 554곳 △2013년 539곳 △2014년 430곳 △2015년 384곳△2016년 342곳 △2017년 200곳까지 줄인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도는 영세 소규모 선과장을 대형 APC와 감귤유통시설현대화사업 선과장으로 통·폐합시켜 나간 다는 계획이다.
 
도는 감귤선과장 등록제를 시행, 등록이 부적합한 선과장을 감축할 계획이었지만, 영세 선과장 운영자들의 생계보장 등의 차원에서 2017년 12월말까지 재연장이 추진되고 있다.
 
앞서 도는 2004년 감귤조례를 개정한 이후 2006년 7월부터 등록제를 적용할 예정이었지만, 4년간 유예했다. 또 2010년에도 같은 문제가 제기돼 또다시 올해 7월로 3년간 유예한 바 있다.
 
이로 인해 수백억원을 들여 건립한 APC 활용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또한 품질 중심의 감귤유통 시스템 구축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감귤 APC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감귤선과장 등록제 시행 등 행정의 감귤 정책이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강승남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